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5,15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06
반사해 위성이 정확한 높이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정확히 자기의
위치
를 알고 있기 때문에 아리랑5호는 촬영하고 싶은 곳에서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이런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아리랑5호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아리랑5호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파 환경실험실에서 ... ...
“자기주도학습 전형 50%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06
서대문구에
위치
한 한성과학고는 내년에 개교 20주년을 맞는다.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갖고 있는 과학고다. 올해 과학고 입시에서 자기주도학습 전형이 50%로 확대되는 큰 변화를 앞두고 한성과학고의 입시 전형을 자세히 살펴봤다.지난해 처음 도입한 자기주도학습 전형은 어떻게 치렀는가?올해부터 ... ...
Armadillos and Human Leprosy
과학동아
l
201106
따르면, 아르마딜로가 인간에게 나병을 옮길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EPFL에
위치
한 세계보건연구소 소장이자 이 연구의 제1저자인 콜 박사는 “나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지리적 분포와, 미국 남부 아르마딜로의 지리적 분포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에 있다. 아르마딜로에게서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106
활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5월 2일에는 에스토니아의 수도 탈린에
위치
한 아하박물관에 4D프레임이 전시됐다. 오는 7월에는 노르웨이 인스피라 과학관에 4D프레임 체험관이 생긴다. 국산 수학 교구 4D프레임이 유럽 곳곳의 과학관에 진출해 수학 교구의 한국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06
파악할 수 있다. 보통 이 결과는 헬리콥터 날개의 디자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날개
위치
에 따른 특징 고익기의 날개는 조종사의 시야가 넓게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날개가 비행기의 무게중심보다 위쪽에 있어서 작은 움직임에도 쉽게 비행기의 자세를 바꿀 수 있다.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05
가열된 지하수와 증기(간헐천)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위치
한 간헐천은 현재 600M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한다.하지만 갑작스러운 화산폭발은 인류에게 재난이다. 지난 500년 동안 화산 분화로 약 25만 명이 죽었다. 현재 기술로 화산 분화는 막을수는 없지만 위험한 화산을 ... ...
지식산업 밝힐 경영과학의 길
과학동아
l
201105
전파를 이용한 무선인식시스템(RFID)을 도입했다. 무선인식시스템을 이용하면 상품의
위치
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물류의 흐름을 한 눈에 보기 쉽게 시각화했다.제조통합 및 자동화 연구실의 실험실 안에는 기업의 유통 경로가 축소돼 있다. 여기에 무선인식시스템을 구현했다. 이 설비로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105
주력했다. 이제 마루는 사람의 얼굴과 물건을 구분하고, 말도 알아듣는다. 스스로 원하는
위치
까지 걸어갈 수도 있다. 집게손을 붙인 마루Z도 나왔다. 주방에서 토스터의 빵과 전자레인지 안에 든 음료를 꺼내 사람에게 가져다 줄 수 있는 두발로봇은 현재 전 세계에서 마루가 유일하다.“국내 로봇 ... ...
스티브 잡스를 꿈꾸십니까?
과학동아
l
201105
아니었다. 전문가 이상의 소양을 갖춘 IT사업가는 연습과 학습만으로 다다를 수 있는
위치
가 아니다. 빌 게이츠와 스티브 잡스 역시, 연습과 학습으로만 그 자리에 오른 게 아니다. 타고난 재능과 열정, 그리고 미국이라는 사회적 배경도 중요했다. 만일 우리나라에서 그들이 태어났다면 과연 천재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05
추진엔진이 필요하다. 궤도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생각되면 반대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해
위치
를 바로 잡는 방식이다. 결국 인공위성의 수명은 싣고 있는 연료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연료를 아껴서 위성을 제어하는 제어 실력도 중요한데, 아깝게 수명을 다한 아리랑 1호도 사실은 최대한 연료를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