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축"(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특이점(singularity)에 주목했다. 특이점은 죽음을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하면 발생하는 공간과 시간이 끝나는 지점이다. 호킹은 우주의 팽창에 이를 역으로 적용해 시공이 시작된 특이점, 즉 빅뱅(big band)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1966년 호킹은 이 결과를 담은 박사학위논문을 썼고 대학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막기 위해 이에 관여하는 p53 같은 유전자를 끌 경우 대신 줄기세포의 게놈에 변이가 축적돼 비정상적인 혈액 세포가 만들어질 수 있다. 즉 혈액암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말이다. 물론 이런 결과는 Aldh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인 실험동물과 여기에 Fancd2 유전자까지 고장 난 실험동물을 정상 동물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제공 한 장면에 가장 많은 개가 등장하는 암각화다. 왼쪽에 암말(말은 수년 천 뒤에야 가축이 된다)과 새끼가 보이고 바로 앞에 사냥꾼이 활로 암말을 겨누고 있고 주변을 개들이 둘러싸고 있다. 오른쪽에 또 다른 사냥꾼이 역시 활로 암말을 겨누고 있고 개 십여 마리가 사냥감을 향해 포진해 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노세보 통각과민 효과에 관여하는 이 회로를 ‘rACC-PAG-척수 축’이라고 이름 붙였다. 즉 제삼자의 눈에는 노세보 효과가 엄살처럼 보이지만 당사자는 정말 그렇게 느낀다는 것이다. 얼마 전 뉴스에서 서울대병원이 진료시간을 5분에서 15분으로 늘리기로 했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그 폭이 크다. 이는 사람마다 소화효소 유전자의 유형과 발현량이 다르고 영양 섭취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장내미생물의 조성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나나와 쿠키의 경우 언뜻 생각하면 바나나가 혈당지수가 낮을 것 같지만 그 반대인 사람도 있다. 심지어 사람에 따라서는 흰빵보다 통밀빵이 ...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2017.03.19
- 기점인 30대와 50대에 외로움이 제일 높은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축이 나이, 새로축이 외로움. ‘점선’이 소득수준, 건강, 고용상태, 친구의 수, 혼자사는지 여부가 일정하다고 할 때 예측한 외로움 수준이다. 생각해 보면 이 두 시기는 흔히 우리가 늦은 나이에 오춘기가 찾아왔다고 하거나(30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많은 사람에게만 한정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비교적 가난한 나라인 우간다와 부유한 축에 속하는 캐나다 각각에서 사람들에게 ‘최근 돈을 쓴 경험’에 대해 자세히 떠올려보게 했다. 그 결과 두 나라 모두에서 ‘내가 필요해서 내 옷을 샀음’같이 자신을 위해 돈을 쓴 경험보다 기부를 했거나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정순찬 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 등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 구축에 참여하고 있는 과학자들과 함께 가속기 관련 여러 과학적 주제들을 놓고 활발한 토론을 가졌다. 또한 행사 도중에는 호텔 ICC 로비에서 IBS 과학자들이 발견한 예술적 감동을 주는 이미지 16점과, 김수연·손경환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속의 두 전하가 줄(고무호스)로 연결돼 있을 때 4차원 공간에서 보면 그 줄은 중력에 의해 축 처질 것"이라며 "줄이 팽팽한 상태보다 에너지가 낮아 안정하기 때문인데, 그 에너지 차이를 계산하자 놀랍게도 쿨롱 법칙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전하가 무지하게 클 경우도 계산했는데, 전하의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최근접 초점 거리로 보고 분석해보면, 사람의 나이 (x축)에 따른 최근접 초점 거리 (y축)를 나타낸 그래프 범위 안에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어도 사람과 보노보의 공통조상이 갈라진 이후 사람에게 노안을 늦추는 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말이다. 노안이야 별 수 없다지만, 청소년 시절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