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스페셜
"
위로
"(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2020.09.12
명명됐다. 현재 빙산에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 수신기를 설치해 센티미터(cm) 단
위로
이동을 기록 중이다. 아리랑 5호는 서울시 면적의 10배에 이르는 ‘빙산 A68’도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이 빙산은 길이가 최대 160km, 두께는 300m에 이른다. 대부분의 빙산은 빙붕에서 떨어진 뒤 곧바로 먼 ... ...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평균 강수량(mm/day)을 기후 평균(1973년-2020년 기간 평균) 대비 편차로 표시했다. 그래프가
위로
향할수록 평균보다 강수량이 많았던 해다. 자료 기상청, 그래프 IBS 제공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강수량 변화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최근 48년간의 강수량 관측 자료를 통해서도 ... ...
[정필모 의원]수면
위로
떠오른 출연연 기관장 임기 연장...“우수 등급 기관 3년 연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의원. 의원실 제공.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장의 임기 연장 개선 방안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보도자료를 내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출연연구기관 기관장 임기연장 개선방안 검토(안)’을 제출받았다고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수 있다. NASA 제공 코로나19로 하늘에서 사라진 것이 있다. 바로 비행운이다. 맑은 하늘
위로
비행기가 지나갈 때 하얀 흔적을 남기는 것을 볼 수 있다. 항공기의 배기나 기압 변화로 구름이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사실상 인간이 만드는 유일한 구름이다. 비행운이 대기에 미치는 효과를 ... ...
한반도에 부는 바람 기후변화로 느려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의한 난류 강도 등 대기의 혼합정도를 등급으로 분류한 것이다. 대기 중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는 아래로 내려오게 간다. 아래층 공기가 위보다 차가울 때는 상하 간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한 상태가 된다. 지형 특성 및 풍향의 변동과 난류에 의해 수평 방향의 확산도 달라진다. ... ...
중대본 "모두가 환자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2일 페이스북에 “의사들이 떠난 의료현장을 묵묵히 지키고 있는 간호사분들을
위로
하며 그 헌신과 노고에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드린다”며 “지난 폭염 시기, 옥외 선별진료소에서 방호복을 벗지 못하는 의료진이 쓰러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국민들의 마음을 울렸다”는 글을 올렸다 ... ...
"무증상 밀접 접촉자 검사 필요없다" 美 CDC 비판 쏟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앞서 연방정부 보건 관리를 인용해 검사 대상을 축소한 새 코로나19 검사 지침이 "
위로
부터 내려왔다"고 전했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은 “그들이 내놓은 질병통제예방센터 지침은 끔찍하고 위험하다”며 이 모든 것이 정치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확진자 수가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폭우가 내리거나 상류에서 물이 들어와 침수되면 하루 만에 줄기가 25㎝나 자라 물
위로
머리를 내밀고 비가 더 와 또 침수되면 다시 그만큼 자라 상황을 벗어난다. 우리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벼에 익숙해 심수 벼가 낯설게 느껴지지만 사실 우리가 재배하는 벼는 유전자 변이로 키가 잘 자라지 ... ...
[표지로 읽는 과학]거품 터지는 현상 설명하는 새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표지에 원을 중심으로 물결무늬가 톱니처럼 나 있는 거품의 모습을 실었다. 유체 표면
위로
볼록 튀어나왔던 거품에 구멍이 나며 터지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꿀처럼 끈적한 유체는 거품이 터질 때 톡 터지지 않고 점차 내려앉으며 터진다. 과학자들은 이것이 중력의 영향으로 유체가 구조물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푸른 번개와 좀더 규모가 작은 붉은 번개 두 가지다. 붉은 번개는 다른 구름보다 좀더
위로
솟구친 구름에서 발견된다. 헤이디 베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과 코넬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공동연구센터는 NASA가 2011년 발사한 목성 탐사선 ‘주노’의 관측 데이터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