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안테나"(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2016.11.01
- 고원에 설치된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으로 지름 12미터인 안테나 54개와 7미터인 안테나 12개로 이뤄져 있어 VLA보다도 감도와 해상력이 높다. 미국 오클라호마대 물리학·천문학과 존 토빈 교수팀과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지구에서 230파섹 떨어진 L1448 IRS3B(역시 페르세우스 영역에 속한다)가 ...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잡아낼 것만 같은 이 안테나가 대체 바다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싶겠지만 사실 이 안테나야말로 해양위성센터의 핵심 중 하나다. 우주에서 한반도의 바다를 한 눈에 관찰한 천리안 위성의 신호를 받는 곳이기 때문이다. 해양위성센터는 이렇게 얻은 위성영상을 다시 분석하고 처리하여 유용한 ... ...
- 바다의 총천연색 속살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않고 해양위성센터로 바로 전송한다 . 다른 건물과 확연히 구분되는 거대한 접시형 안테나는 바로 천리안위성의 신호를 받기 위한 것이다. 바다 위의 만능 지도, 해양위성정보 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이용하여 해양의 식물성플랑크톤, 수온, 바람, 해류, 파랑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해석하는 것을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2014.12.29
- 난 것. 대표적인 호메오유전자 돌연변이체들. 더듬이가 날 자리에 다리가 달린 안테나페디아(오른쪽 위)와 날개가 넷 달린 변이체(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유럽에서는 사람을 ... ...
- [채널A] 브라질 월드컵, 억울한 노골 퇴출…어떻게?채널A l2014.06.16
- 아닌 자기장을 이용한 골 판독 기술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공속에 자기장 칩을 골라인에 안테나를 각각 넣어서 공이 골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0.5초 안에 심판에게 전달하는 원리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ports/3/05/20140612/6422098 ... ...
- 새로운 시작이 두렵다! 어른은 월요병, 아이는 새학기증후군KISTI l2014.03.04
- 트는 새벽에 사람들이 다급하게 일어나 뒷산에 오른다. 거울, 액자, 매트리스, 위성 안테나 등 넓적한 물건을 손에 들고 있다. 동쪽을 바라보며 소지품을 활짝 펼친 채 힘껏 저항하지만 태양은 여지없이 떠오르고 아침이 시작된다. 터벅터벅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배경으로 이런 멘트가 ...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KISTI l2013.12.19
- 점이다. TV 방송을 가정까지 보내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다. 지상파 방송처럼 방송국 안테나를 통해 보내거나, 인공위성을 이용하거나, 이용자의 집까지 케이블을 까는 것이다. 케이블 방식은 직접 선을 이용해 송출하기 때문에 용량이나 속도 면에서는 다른 두 방법보다 편하다. 하지만 모든 ... ...
- [채널A] 아리랑 5호 발사 성공…“야간에도 관측 가능”채널A l2013.08.23
- 부원장] 태양전지판의 전개, SAR 레이더(영상레이더)의 전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안테나의 전개와 같은 기본적인 세 가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리랑 5호는 어젯밤 11시 39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프르 로켓에 실려 발사됐습니다. 목표 궤도 550km에 ... ...
- 미래부, 국내 인공위성 수출을 위한 기반 마련동아사이언스 l2013.05.08
- 국내 주도로 개발 가능한 인공위성 모델 54종(중량․임무․용도별), 위성 운영을 위한 안테나 등 지상국 주요 제품의 정보와 더불어, 고도의 기술력과 최첨단 시설을 활용한 위성 조립 및 시험서비스와 각종 고품질 위성 영상정보 서비스 등이다. 금번, 카리솔루션 제작은 정부투자로 개발된 국내 ... ...
- 식물의 광합성 단백질 모사해 인공 안테나 단백질 합성동아사이언스 l2013.04.24
- 시스템의 효율을 이기는 것은 쉬운 도전이 아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인공 광합성 안테나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기초연구진흥과 최도영 과장(02-2110-2370) 김기태 서기관(02-2110-2371)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서지원 교수(062-715-3628, 010-2019- ... ...
이전891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