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스페셜
"
소모
"(으)로 총 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붙들 수 있어야 한다. 음극재와 양극재의 양을 늘리면 되지만 배터리 무게가 늘어나 전력
소모
가 커지면 도루묵이다. 이런 이유로 2차전지 연구는 곧 양극재와 음극재에 관한 연구고, 그중에서도 양극재가 중요하다. 선 교수는 “현재 쓰이는 양극재는 g당 1시간 동안 흐르는 전류량이 200mAh ... ...
막대한 에너지 투입해 생산하던 암모니아, 쇠구슬 굴려서 만든다
2020.12.15
높은 온도와 높은 압력에서 결합시켜 대량의 암모니아를 얻는 원리다. 하지만 에너지
소모
가 많고 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문제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쇠구슬 500g(왼쪽)과 볼 밀링 장비(오른쪽)를 사용해서 암모니아 생산 실험을 진행했다. UNIST 제공 연구팀은 하버-보슈법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해본 적이 없어서 사실 잘 모르겠만 분명 인간의 경우에는 그렇다. 하지만 어느 순간
소모
전은 갑자기 종결된다. 수렴하는 등비급수의 당연한 결과다. 인류의 깊은 심성 속에서 오랜 세월을 통해 빚어진 신념, 평화를 위한 고결한 동기와 위대한 이상이 부르는 기나긴 투쟁과 잔혹한 파괴. 이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육과 글루타민
2020.12.01
로버트 시네츠키는 “글루타민 보충제를 먹어도 위나 간, 장 같은 소화기관에서
소모
되기 때문에 혈관을 거쳐 근육까지 도달하는 양은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암과 글루타민의 관계도 비슷하다. 암세포가 글루타민을 좋아한다고 해서 섭취를 줄여봐야 효과를 보기 어렵다. 암세포는 어떻게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기체인 냉매를 압축해 액체로 되돌릴 때 많은 전기에너지가
소모
되고 열이 발생한다. 반면 흡착식 냉·난방기는 물 분자를 빨아들여 냉방을 촉진하고 열이 가해지면 물 분자를 내뱉는 흡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에어컨의 10분의 1 정도 전기로 작동한다. ○ 친환경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과정에서 모든 공간을 봐야 하지만 고개를 돌려 보기에는 신체 공간이 부족하고 에너지
소모
도 많아 한 번에 넓은 공간을 보도록 이 같은 눈 구조를 진화시켰다”라며 “이를 응용한 렌즈를 개발해 드론이나 자율주행차량, 내시경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송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제한을 받으면 실온도 체온 유지에 부담이 된다. 그래서 쥐의 체온조절 시스템은 에너지
소모
를 줄이기 위해 체온을 낮추는 쪽으로(특히 잠을 자는 시간대에) 재조정한다. 이는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 굶어 죽지 않고 생존할 가능성이 높이기 위한 진화의 결과로 보인다. 그렇다면 열중성 온도(3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읽어 염기 서열을 해독하는 기술이다. 장비가 작은 데다 전력
소모
도 적어 소형화에 유리하다. 영국 옥스퍼드 나노포어사가 개발한 해독 장치 ‘미니온’은 크기가 보조기억매체(USB) 정도에 불과하다. 미니온은 크기가 작아 바이러스를 현장에서 바로 분석할 때 유리하다. ... ...
3년반 걸리던 신약후보 발굴 4개월 만에 '뚝딱' 냉장고흠 찾고 길벗도 찾아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공정에서 AI 예측을 통해 60~70%만 충전하고 30%만 남도록 방전하는 기술을 개발해 전력
소모
를 줄였다”고 말했다. 냉장고 외관의 흠집을 찾아내는 검사에도 AI가 쓰인다. 문제는 흠집이 흔하지 않다는 것이다. 데이터가 적다는 뜻이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AI를 적용하기 쉽지 않다. 배 ... ...
[일문일답] 최대집 "의정합의문 절차 정당…전공의·의대생 복귀해야"
연합뉴스
l
2020.09.04
이게 무슨 차이가 있길래 이런 용어에 집착해서 우리 스스로와 사회에 피해를 야기하나.
소모
적인 논쟁이다. -- 전공의들이 의협의 단독협상이라 비판하는데. ▲ 의협 구조는 회장이 독단행동을 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 회의를 통했고, 혼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