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우자
짝
배필
내외
반려자
동반자
안팎
스페셜
"
부부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2016.01.03
“세상에 태어난 때는 다르지만 떠날 때는 같이 갑시다.” 금슬 좋은
부부
가 잠자리에 누워 두 손을 꼭 잡고 이런 말은 한다지만 아직 한창인 나이에 이렇게 죽는다면 불행한 일일 것이다. 오랫동안 공동연구를 하며 암의 세포생물학을 이끈 중견의 두 과학자가 불과 세 달 간격으로 세상을 ... ...
화(火), 표현해야 건강해진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급성 내과 질환 등 육체적인 스트레스도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그 중 사업실패와
부부
또는 고부갈등 등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가 질환으로 이어진 환자들은 평소 속에 열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느낌을 받거나 큰 돌덩이가 가슴 위에 올라가 이는 것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즉 동성애자였는데 알고 보니 여자도 좋아했던 것. 수개월 동안의 밀회는 스토네킹
부부
가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끝나는 듯 했다. 그런데 인연이란 묘해서 패보는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영입제의를 받게 된다. 당시 새로 설립하는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에서 이미 영입제의를 받은 패보는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라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컴퓨터 과학자 마이클 앤더슨과 철학자 수전 앤더슨
부부
가 설계한 의학윤리 전문가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여러 의무가 상충할 때, 과거의 구체적인 사례에서 인간 의료전문가가 내린 결정을 참고해 자신의 의무들을 비교 평가한다. 이 방법은 상충하는 의무들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지핀 것은 첫 번째 부인인 제인 와일드다. 이들은 20대 초반부터 50대 초반까지 30년 동안
부부
생활을 이어갔고, 호킹 박사의 학문적인 업적은 대부분 이 기간에 완성됐다. 호킹 박사를 일약 스타덤에 올린 특이점 이론이 대표적이다. 그가 온몸이 서서히 마비되는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건 ... ...
다이나믹한 연구단 생활이 즐겁다
IBS
l
2014.11.29
분위기 속에서 연구단이 운영될 수 있는거죠." 연구단이 1주년이 됐을 때는 김 단장
부부
가 직접 4~50명이 되는 연구단 식구를 초대해 파티를 열어 주기도 했다고. 이를 통해 연구단이 한 번 더 단합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다짐을 굳건히 할 수 있는 계기도 됐다고 한다. 연구단 생활 1년 남짓.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환경에 대한 지도를 머릿속에 구축함으로써 올바른 위치를 찾게 해준다. 모세르 교수
부부
는 2005년 실험에서 또 다른 위치정보 처리 시스템인 '격자세포(grid cell)'의 존재를 발견했다. 미로를 헤매던 쥐가 복합적인 감각요소가 있는 위치를 지날 때마다 내후각 피질의 특정 세포들이 6각형의 격자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
’에게
2014.10.13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모세르
부부
)가 하루 종일 붙어다는 건 아니랍니다. - 에드바르드 모세르,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요즘은 그렇지 않겠지만 필 ... 경제학상을 받은 스웨덴의 경제학자 군나르 뮈르달(Gnnar Myrdal)과 1982년 평화상을 받은 알바(Alva) 뮈르달
부부
다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
IBS
l
2014.10.13
다만 교통이 불편한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고. 표지호 씨와 김봉재 씨는 모두 주말
부부
다. 각각 안산과 서울에 가족을 두고 홀로 대전에 내려온 이들은 가족에 대해 그리움을 안고 출근한다. 다행히 둘 다 올 12월에는 가족들이 대전으로 내려와 함께 지낼 수 있게 된다는 기대를 하고 있다. 두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에 빠져있는 사람이다. 반면 질소기체는 콩깍지가 단단히 씌여 가족이기주의에 빠진
부부
라고 할 수 있다. 놀랍게도 오랜 진화를 거쳤음에도 대부분의 생명체는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실패했고 예외적으로 콩과식물이 미생물의 힘을 이용해 질소를 고정, 즉 유용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