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스페셜
"
반대
"(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들어온 신규 자금과 새 대주주에게 제법 기대를 걸었다. 그러나 제이콥스와의 기대와는
반대
로 메이콤은 조심스러운 연구개발 전략을 유지했다. 사실 제이콥스에게는 신기술을 통해 정보통신 시장에서 성공하겠다는 비전이 있었다. 정보통신기술계의 두 유명인사가 설립한 회사인만큼 허황된 꿈은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않았으며 시신은 납으로 만든 관에 안치되었다. 이 불쌍한 소녀는 마을 사람들의 극심한
반대
로 하마터면 묘를 쓰지도 못할 뻔했다. 이외에도 20명의 환자가 입원치료를 받았고 10만여 명의 사람들이 피폭 여부를 검진받아야 했다. 이 모두가 단 한 줌의 방사성 물질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신호전달 방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도 했다. “
반대
로 말하면 지금 세포 신호전달물질이나 역분화줄기세포 분야에서 아무리 뛰어난 성과를 낸다고 해도 노벨상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남들이 전혀 도전하지 않았던 학문에 새롭게 뛰어들어야 하는 겁니다.” 이런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원칙’이다. 그는 “아무리 좋은 툴이어도 사용하려는 사람이 없으면 소용이 없거니와
반대
로 사용하려는 사람이 많지만 툴을 개발할 능력이 없어도 문제”라면서 “기업인 중 상당수가 바이오 벤처도 결국에는 수요와 공급 법칙을 따르는 기업이라는 것을 잊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우리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26
때문에 연구 과제를 바꾸거나 새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비해 산학 부분은 정
반대
다. 소규모 연구가 가능해 상대적으로 기업과 연구를 진행하기 쉽고, 이런 사업에 적극적인 경우도 많다. 하지만 기업이 원하는 수준에 맞추기엔 지나치게 기초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당장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안된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정부는 매각을 검토해 왔다. 연구소 측과 노조는 민영화
반대
를 외치며 거리로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기관의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편에 따라 화학연과 안전성연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로 이관이 결정됨에 따라 안전성연도 출연연으로 남을 것으로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받고 실생활에 상용화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상품화에 중점을 둔 실용연구 분야는 이와
반대
지요. 인프라 구축 연구는 기초와 실용 연구의 기반을 닦는 일이지만 특허 출원과 논문 발표 모두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생각일까. 정 원장은 앞으로 기초분야는 분야별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곳에 집행돼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연구 장비가 있어도 정작 쓸 사람이 없거나 그
반대
의 경우도 많이 생길 수 있거든요. 국내 BT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일자리 창출, 강의부담 감소와 함께 적절한 곳에 이뤄지는 정부의 정책도 매우 중요합니다.”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donga.com 김연수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과학자는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신규 미생물을 발견하면 곧 논문을 낼 수 있다.
반대
로 어떤 단백질이 몸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최소 몇 년이 걸린다. 연구 분야의 성격이 다르다보니 논문 발표수도 차이가 나는 건 당연지사. 이러한 고려 없이 ‘1년에 논문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09.04.23
접근이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인체 조직 같은 연구 재료를 확보하기도 쉽지 않죠.
반대
로 임상의사는 기초의학을 연구하고 싶어도 정부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길이 많지 않습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와 이공계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는 게 교과부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