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믿음"(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울음이 주는 메세지2019.07.27
- 난 후 기분이 더 나빠지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다만 울고 나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믿음’만은 확고하게 존재해서, 약 70%의 사람들이 울고 나면 기분이 좋아진다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하지만 가장 최근 울었던 일을 떠올려보라고 하면, 울고 난 후 기분이 좋아졌다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2019.07.19
- the Royal Society, 62(1), 77-95. -김동주. (2018). 찰스 S. 퍼스와 마이클 폴라니의 회의론과 믿음 (belief) 에 대한 비교 연구. 기호학 연구, 54, 7-36. -신범석. (2018). 암묵지 (暗默知) 의 학습적 가치. 휴먼웨어 연구, 1(1), 25-54.”- -최완기. (2004). 역사 의 갈림길 에서 고뇌 하는 조선 사람들. Ewha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2019.07.12
- 보통 천연재료, 천연소재를 인공의 결과물보다 더 좋아한다. 자연산이 인체에 더 좋다는 믿음도 널리 퍼져 있다. 물론 플라스틱 같은 인공물은 인체에도 환경에도 해롭다. 그러나 모든 인공물이 그런 것은 아니다. 소금은 그게 천일염이든 공장염이든 모두 염화나트륨(NaCl)이다. 염소와 나트륨이 1:1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큰 특성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일 텐데 어떤 필연성을 떠올릴 수 없는 필자로서는 영 믿음이 가지 않는다. 이런 논문이 나오면 대중적으로 꽤 인기가 있어 언론매체에서 즐겨 소개함에도 필자는 다루지 않은 이유다. 남녀 차이 고작 2% 손가락 비율은 검지 길이(2D)를 약지 길이(4D)로 나눈 값이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한탕주의이다. 뭔가 한방으로 인생을 역전할 수 있고 나라의 운명조차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은 망상에 불과하다. 둘째, 우리의 학교교육과도 관계가 있다. 입시위주의 우리 교육에서는 문제 유형별 솔루션을 찾기만 하면 순식간에 문제가 풀린다. 그 길에서 한 발이라도 어긋나면 주어진 시간 내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세상의 룰 공정하다'는 믿음, 열정페이를 강요하다 2019.05.04
- 수도 있다 같은 ‘상보적’ 믿음을 통해 어쨌든 세상은 이치에 맞게 돌아가고 있다는 믿음을 유지한다. 열정페이 역시 힘들지만 그만큼 일을 하며 행복하니 괜찮다고 합리화하는 현상이라는 게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누군가 별다른 이유 없이 저임금 고강도 노동에 시달린다는 정보를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알파고의 공습2019.05.02
- 끝났다고 말하던 2016년의 3월 2일까지만 해도 나는 이세돌9단이 알파고를 이기리라는 믿음에 추호의 흔들림도 없었다. 그전에 알파고가 유럽바둑챔피언(판후이 2단)을 이긴 적이 있긴 하지만, 이세돌 같은 초일류기사는 얘기가 완전히 다르다. 일주일 뒤의 이벤트가 인공지능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2019.03.23
- 비행기 추락, 테러 같은 사회가 어느 정도 공정한 룰과 예측 하에서 돌아갈 것이라는 믿음과 안전감을 앗아가는 사건들이 나머지 하나다. 이렇게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가져오는 사건들은, 이를 직접 경험한 사람은 소수라고 해도, 그 사건을 접하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준다. 그리고 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2019.01.12
- 피해망상을 측정했다. 그 결과 자존감보다 나르시시즘이 피해망상 및 음모론에 대한 믿음과 더 높은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나르시시즘의 효과를 제하고 자존감만의 효과를 분석했을 때, 즉 우월감 및 지나친 인정 추구와 상관 없는 건강한 자존감은 피해망상 그리고 음모론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 부른다. 자신의 생각과 믿음이 틀릴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는 태도를 말한다. 자신의 믿음의 근거가 되는 사실들이 변하거나 틀렸을 가능성, 또 근거가 잘못되지 않았더라도 그에 대한 본인의 ‘해석’이 틀렸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모르는 걸 모른다고 할 줄 아는 사람들의 특징에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