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스페셜
"
마지막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연구를 통해 이론으로 만들어 낸다. 둘째, 이 이론을 응용한 도구가 만들어 지고,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세 번째에 오면 이 도구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새로운 이론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자료가 쌓인 다는 것. “생명공학분야에서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1985년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지원해 국내 연구자끼리 공동연구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으로 우리나라 생명과학계의 선진화를 위해서 ‘유명 국제학회 유치’를 제안하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국제학회 개최는 국내 연구력을 한 단계 성장시키고 생명과학계 저변을 확대시키는 데도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육성하고 장비를 확보해 신속하고 빠르게 기술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마지막
으로 그는 정부나 공공기관의 연구도 어떻게 쓰일지 생각해야 하며, 공공 분야 연구도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3자의 시각으로 보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아무리 열심히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아무리 유명한 과학자라도 매년 좋은 결과를 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양 단장은
마지막
으로 과학자들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했다. 그는 “연구자들의 환경을 잘 알고 있는 과학자들이 사회 곳곳으로 진출하면 실험실과 정책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이를 위해 관련 부처간 대화와 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마지막
으로 정부가 제도적인 환경 개선을 통해 기업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새로운 약을 만들고 투자를 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을 승인 받기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LG생명공학 등에서 30년간 연구개발을 했다. 그는 LG생명과학 기술연구원장(부사장)을
마지막
으로 업계를 떠난 뒤 인하대 교수를 거쳐 2007년부터 프론티어 연구성과지원센터장을 맡고 있다. 센터는 국가 중장기 대형 연구개발 사업인 ‘프론티어 사업’의 성과를 지원하며 연구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다시 3년이 지난 2008년말에는 논문과 특허 출원 숫자는 각각 552건과 151건으로 늘었다.
마지막
3년간의 성과는 올해 말 집계된다. 또 다시 200% 이상의 실적 향상이 기대된다. 그렇다고 보기 좋게 논문 제출 숫자만 늘린 것은 아니다. 연구비 1억 원당 총 논문 편수, 기술사업화 비용 등도 모두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새로운 기술도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
으로 김 원장은 “ ETRI는 앞으로 특허기술료 1억불을 달성하는 등 다양한 정량적 목표를 세우고 있다”며 “바이오-의료산업이 우리나라의 차세대 먹거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활성화 되고, 더 나아가 국내 생명공학계도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
으로 “과학자들이 좀 더 부자가 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면서 “이공계위기 등을 탓하지 말고, 선배들이 먼저 ‘우리도 돈 벌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봉현 ... ...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센터 구축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09.06.09
학생들에게 좋은 역할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이태걸 박사=의사는 생명과학기술의
마지막
사용자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의사들이 연구개발에 참여한다면 혁신적이고 편리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환자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으니, 실질적인 아이디어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