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스페셜
"
겨울
"(으)로 총 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델타 변이 1명이 7명 감염 기본…누구나 슈퍼전파자 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일으키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각 지역의 바이러스 유행 정보를 종합해 해마다 그해
겨울
에 유행할 가능성이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종을 예측하고 백신 성분에도 포함시키는 등 매년 대비책을 내놓고 있다. 반면 코로나19는 인플루엔자와 같은 글로벌 감시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다. 가디언은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기후변화가 진행되면 눈의 영향은 거의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시나리오 대로라면
겨울
철 눈 녹은 물의 양이 줄어들면서 한강 유역은 봄에 극심한 가뭄이 찾아올 수도 있다. ○ 강우량 │ 강줄기까지 바꾼 식생 잠식 2010년(왼쪽)과 2016년 섬강을 비교하면 식생(녹색) 면적이 늘어난 것을 ... ...
화이자·모더나 백신 "면역효과 최대 수년"…'교차접종' 면역효과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면역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기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겨울
전 ‘부스터샷(3차 접종)’도 고려하고 있다. 폴 헌터 이스트앵글리아대 교수는 BBC에 “현재 가장 큰 관심은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이 가을에 부스터샷을 맞을 수 있는지 여부”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볼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합니다. 파도의 세기는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한반도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겨울
에 파도가 높아집니다. 물론 여름에도 태풍이 오면 높은 파도가 치기도 합니다. 파도가 강하면 암석이 더 빠르게 깎입니다. 그래도 물인데 파도가 세면 얼마나 세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먼바다에서 ... ...
겨울
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급격히 빛을 잃는 현상을 보였다. 유럽남방천문대 제공
겨울
철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인 ‘베텔게우스’가 2019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급격히 빛을 잃었다가 4월 언제 그랬냐는 듯 예전 밝기를 회복했다. 태양보다 수백 배 큰 별이 빛을 빠르게 잃는 이례적 ... ...
코로나 백신 전쟁의 스타는 제약사 아니라 생명공학기업
2021.05.27
공기 정체를 해소해 바이러스가 빨리 배출되게 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여름철이나
겨울
철 환기보다는 내부 공기를 냉난방시켜 순환하는 방식이 많이 쓰인다. 성 교수는 “36% 정도만 외부 공기를 받아 순환시킨다”며 “환기를 하면 할수록 효과가 큰 만큼 기본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백신 개발 3대 키워드
2021.05.10
키워드 │ 안전성, 전달성, 안정성 새로운 바이러스의 유행 뉴스를 처음 접했을 때는 ‘
겨울
이 끝나면 자연스레 사라지겠지’라고 생각했었다. 이것이 근거 없는 믿음이라는 것을 깨닫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았다. 1년이 넘게 지난 지금, 이제는 누구도 이 사태가 금방 진정될 거라고 말하지 않는다 ... ...
인도는 불확실성 폭탄…코로나19 변이색출 거의 못한다
연합뉴스
l
2021.04.30
다만 인도 당국이 유전자 시퀀싱에 아예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당국은 지난
겨울
시퀀싱 기구인 '인도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 협력단'을 출범하고 전체 확진 사례 중 5% 정도를 시퀀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여기에는 막대한 자금과 기반 지원이 필요한데, 인도의 공공보건 ... ...
더는 춥지 않은 대한과 소한…기후변화로 24절기 뒤죽박죽
동아사이언스
l
2021.04.28
것과 달리 여름이 4개월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반면 가을은 73일에서 69일로 4일 줄었고
겨울
은 109일에서 87일로 22일 짧아졌다. 기상청 제공 기후를 나타내는 24절기도 온도 변화를 겪었다. 가장 추운 절기인 대한은 과거 평균기온 영하 2.1도에서 최근 0.9도로, 소한은 영하 1.2도에서 영상 0.8도로 모두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두꺼운 옷을 지으려니 목화밭을 또 일궈야 한다. 정말 겨우
겨울
살아낸다. 이런 환경이라면 남성은 새로운 짝을 찾아 번식하는 전략을 쓰기 어렵다. 자칫하면 기존에 있던 자식도 굶겨 죽일 판국이다. 그래서 일부일처제가 강화되고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