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스페셜
"
개발
"(으)로 총 684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에 미니 빙하기가 온다고?
KISTI
l
2015.10.20
변화 주기를 정확히 파악해내지 못했다. 그러나 쟈코바 교수팀은 자신들이 새로
개발
한 모델을 사용해 태양 내부에서 2개 층으로 된 힘의 파동 위상이 일치할 때는 태양 활동이 활발한 극대기가 되며, 위상이 불일치할 때는 태양 활동이 극소기에 이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태양 활동 주기에 ... ...
발열공포, 해열제로 해소되나?!
KISTI
l
2015.10.19
기억이 우리에게 열에 대한 공포를 키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백신이
개발
돼 심각한 세균에 감염되는 경우가 예전에 비해 줄었으며, 의료 수준이 높아져 설사 감염되더라도 치료에 실패하는 확률이 줄었다. 즉, 요즘 아이들이 열이 나는 원인은 대부분 3~4일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 ...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사업으로 보는 신재생에너지의 미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기술도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경제
개발
협력기구(OECD) 34개국 중 꼴찌일 정도로 신재생에너지 기술 자체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를 결합한 마이크로그리드 ... ...
인공태양에 필요한 중수소와 삼중수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전 세계인들이 5백년 가량 쓸 수 있는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주
개발
이 지구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다만 핵융합을 언제 실용화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 ...
'KINAC을 핵안보 및 핵비확산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2015.10.02
포함한 동북아, 이란을 포함한 중동 등지에서 핵문제 및 핵비확산 동향이나 관련 정책을
개발
할 때 전문 기관으로서 기술적 사항을 지원하는 싱크탱크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손 원장은 "앞으로 KINAC이 핵안보 및 핵비확산 분야에서 국제 사회를 선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국제 원자력 ... ...
사용후핵연료 활용 숨통 트였다
2015.10.02
기울여야 한다"라고 밝혔다. 향후 원자력통제기술원은 차세대 안전조치 계량관리기술
개발
과 관련 시설 밀봉 원격 감시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하드웨어적 노력과 함께 핵비확산 문화와 안전성을 국제 사회에 널리 전파하는 소프트웨어적 노력을 균형있게 추진할 예정이다. * 본 기사는 ... ...
네가와트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1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국민발전소 프로젝트는 8월부터 시작되는 3차년도에는
개발
된 플랫폼을 실증하기 위해 지자체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들과 협의 중이다. 미래의 DR은 어떤 모습일까. DR이 사물인터넷(IoT)과 만나면 미국의 경제학자 제레미 리프킨의 말처럼 ‘제3의 산업혁명’을 ... ...
반도체와 단백질로 물에서 수소를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1
것까지 목표로 두고 있다. 그것의 시작이 전기 분해장치에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촉매
개발
인 것이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Green Tech. HORIZON> 6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미국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
2015.10.01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버클리 랩의 추 홀 내부. 이곳에는 태양빛에서 연료를
개발
하기 위해 인공광합성을 연구하는 여러 실험실들이 마련돼 있다. - JCAP 버클리 랩 제공 Q. 최근 인공광합성 분야의 연구성과 중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A. JCAP은 이 분야를 진보시키는 데 도움이 될 만한 ... ...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사용이 최소화된다. 앞으로 바닷물을 정제해 우라늄을 경제성 있게 얻는 기술까지
개발
한다면 수만 년 동안 우라늄 부족을 걱정할 필요도 없어진다. 미래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원자력에너지가 연료 부문에서는 고갈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본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