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뉴스
"
지목
"(으)로 총 953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간 이식 환자, 2주 넘게 생존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돼지 간 검사에선 앞서 시술 두 달 만에 사망한 돼지 심장 이식자의 합병증 원인으로
지목
되는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최근 돼지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려는 시도는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2022년 초부터 돼지의 심장, 신장, 폐 등의 장기가 총 4명에 환자에게 이식됐다. 세 명은 ... ...
우주청이 소행성 '아포피스'·라그랑주점을 탐사하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제1 라그랑주점(L1)부터 제5 라그랑주점(L5)까지 총 5개의 지점이 있다. 한국이 L4를
지목
한 것은 이미 다른 지점에는 우주 선도국이 진출했거나 진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5개의 라그랑주점의 위치를 표현한 그래픽.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L1은 지구나 달의 그늘에 놓이지 않아 태양을 관측하기 ... ...
[극한호우, 우리]④ '녹색 스펀지'가 된 베를린…홍수 방재에 오염수 정화까지
2024.05.30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입었다. 전문가들은 이런 '낯선 큰비'의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
한다. 기후변화에 의해 겨울 기온이 온화해지면서 이상기후가 관측됐다는 것이다. 기후재난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사회가 감당할 짐이 된다. 독일 국립과학아카데미는 기후변화에 따라 홍수나 폭염 등 ... ...
"비행기 탈 때 공포의 '난기류' 2050년 이후 2배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폭풍이 보고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난기류와 허리케인이 빈번해진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
한다. 난기류란 공기가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불규칙하게 흐르는 현상이다. 영국 런던발 싱가포르행 항공기가 21일(현지시간) 난기류로 태국 방콕에 비상착륙 하면서 1명이 숨지고 70여 명이 다치는 일이 ... ...
한국에도 오로라 내린 '태양폭풍' 비밀 400년만에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무선 통신망, 위성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어 피해를 막기 위해 태양 폭풍의 원인으로
지목
되는 자기장 활동 예측이 필요하다. 태양 자기장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17세기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태양 흑점을 관측한 이래 400년 동안 과학계 난제였다. 제프리 바실 영국 ... ...
온실가스 주범 메탄·아산화질소, 동시 제거 습지미생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보다 각각 25배와 298배에 달한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지목
되는 주요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성근 충북대 교수 연구팀이 습지에서 서식하는 메탄산화미생물이 아산화질소 제거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 ...
"사회적 차별 받으면 빨리 늙는다"
2024.05.10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차별을 겪은 후 나타나는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이 원인으로
지목
된다. 쿠에바스 교수 연구팀은 1995년부터 25~74세 미국 거주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미국국립노화연구소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종단 분석 연구인 '중년기 미국인(MIDUS) 연구'에 참여한 1967명의 혈액 샘플과 ... ...
쌀알 반만 한 뇌 조각으로 만든 고해상도 '3D 뇌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특히 뇌의 신경 회로 손상은 수많은 뇌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
받는다. 인간 뇌를 연구하는 데는 기술적 한계뿐 아니라 뇌 조직 샘플을 구하고 보존하는 등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연구팀은 뇌를 상세하게 연구하기 위해 작은 뇌 조각을 분석해 데이터로 만들기 ... ...
"베토벤의 청각 장애 원인은 납 중독"
2024.05.07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다량의 납이 청각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목
하면서도 베토벤의 발병 원인으로 속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이튼 미국 워싱턴대 공중보건대학원 환경산업보건학과 명예교수는 "다량의 납이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청력을 손상시켰을 수 있다"며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미국 하워드휴스 의학연구소 연구팀이 쓴 맛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TAS2R'을
지목
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되면서다. 2010년에는 독일 인간영양연구소 연구팀이 어떤 화학물질들이 TAS2R의 수용체들을 활성화시키는지 밝혀냈다. 하지만 이후 쓴 맛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는 별다른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