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욕
갈망
성욕
열망
욕심
야욕
식욕
뉴스
"
욕망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각 개체의 이익과
욕망
에 휘둘려 싸움을 벌이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의 싸움은 개인의
욕망
과는 무관하게 무리(국가)에 봉사한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 저자는 이런 차이점이 초기 인류가 개발한 사회성에 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근친상간을 터부시하며 언어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만들며 이 ... ...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15.04.19
또 본능에 충실한 림비에게 사랑은 성관계와 동의어이지만, 대뇌피질과 협력하면
욕망
보다는 관계에 집중하고, 서로에 대한 배려가 일상이 되는 사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발휘할 수 있는 물리적인 능력은 한정돼 있는데, 복잡한 세상의 흐름을 억지로 따라가도 보니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 위키피디아 제공 이제는 고전이 된 미국 미시건대 심리학과 데이비드 버스 교수의 책 ‘
욕망
의 진화’를 봐도 많은 나라에서 치정에 얽힌 살해가 살인사건(전쟁 제외)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남편의 간통에 아내가 칼을 드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아내의 간통이나 이혼요구,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에우리디케가 잘 따라오는지 돌아 봤다가 영원한 이별을 맞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욕망
때문에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작은 것을 보려고 현미경을 개발했다. 1665년 로버트 후크는 당시로선 최첨단인 ‘복합현미경’을 개발해 코르크 마개, 벼룩 등을 관찰하고 여기서 얻은 이미지를 담은 책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시대에 사는 필자는 무려 44년이 지나 그 사실을 알게 된 셈이다!). ‘요리를
욕망
하다’는 저자가 각 유형의 요리를 직접 배우면서 체험하는 과정을 기록하며 이론이라는 살을 붙이는 형식인데, 3부에서도 제빵을 배우는 과정이 실감나게 묘사돼 있다. 발효종 얘기도 이스트를 쓰는 요즘 빵이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욕망
하는 건 친구의 애인임에도
욕망
하는 게 아니라 친구(중개자)의 애인이기 때문에
욕망
한다는 말이다. 컴퓨터시뮬레이션 결과 암흑물질은 우주 전반에 고루 퍼져있는 게 아니라 3차원 그물망의 형태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흑물질의 중력에 끌려 그물망의 매듭에서 은하들이 주로 ... ...
“내 꿈은 가수인데…” 수학에 한자까지 하루 9곳 학원 순례
동아일보
l
2014.04.08
높아졌다. 홍강의 한국자살예방협회장은 “초등학생 때는 마음속에 자살에 대한 욕구나
욕망
이 자라고 15세 이후 그 욕구가 행동으로 표출된다”며 “이 때문에 초등학생 때 마음속의 불만 등을 치유하고 풀어주지 않으면 중고교생이 돼서 비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자녀의 행복 ... ...
아름다운 꽃…알고보면 인간을 '쥐락펴락' 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28
수도 없는 꽃식물들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이 식물들은 사람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
을 자극함으로써 생존에 성공했다. 최초로 꽃가게에서 판매된 꽃인 튤립이나 최초의 화훼 전문가를 탄생시킨 장미가 바로 인간의 미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살아남은 대표적 식물들이다. ... ...
‘본분’ 망각한 영어교육, ‘숫자’로만 존재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영어'는 한국인과 영어, 역사와 과학을 두루 건드리며 이 주제에 접근했다. 특히 1부 ‘
욕망
의 언어 잉글리시’와 5부 ‘두 언어의 미래’를 통해 영어의 목적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EBS 제공 다큐프라임은 냉정하게 현실을 보여준다. ‘묻지마’식으로 하는 영어 교육에 ... ...
집은 기다림과 자기 철학의 공간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주거공간으로 편안한 휴식처이자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아니라,
욕망
의 대상이 됐다. 삶을 얼마나 더 편안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가에 대한 사용가치가 아닌 다른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를 더 높게 평가하는 세상으로 바뀐 것이다. 똑같은 면적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