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뉴스
"
옛날
"(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해서 표피로 넘어가 각질화돼 떨어져 나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옛날
에는 진피를 도려내지 않는 이상 문신을 없애지 못했다. 피부과 레이저 기술이 발전하면서 문신에 물든 진피에 레이저 펄스를 쏘아 진피세포를 터뜨리고 문신 안료도 잘게 쪼갤 수 있게 됐다. 안료 파편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노이만은 ‘새로운 사람(New Man)’이라는 뜻입니다. 이 화석은 계곡을 뜻하는
옛날
독일어 ‘탈(Thal)’이 뒤에 붙어서 네안데르탈(Neanderthal)이라는 이름을 얻게 됩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인간 이외의 호모 속 중에서 가장 처음 발견된 종입니다. 정말 ‘새로운 인간’이었죠. 아주 어울리는 ... ...
[짬짜면 과학 교실] 자연이 쓴 역사책
2018.03.03
거인의 흙장난 _윤병무
옛날
옛적 고릿적 이 세상에 엄청나게 큰 거인이 살았어요 개미 눈에 코끼리가 안 보이듯 너무 큰 거인을 알아볼 수 없었어요 거인은 흙장난을 좋아했어요 거인은 산꼭대기에서 물을 흘려보내 큰물을 일으켜 바위를 굴려 부수고 자갈 ... ...
인공지능(AI)에 '과학동아 송' 작곡시켜 보니
과학동아
l
2018.03.02
준다. 완성된 음악은 저작권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진=쥬크덱 웹사이트 캡쳐)
옛날
노래를 학습한 탓에 쥬크덱의 인공지능이 만든 노래는 요즘 분위기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A.I.M은 여기에 사람을 개입시켜 요즘 감성을 입혔다. 인공지능이 창조한 기본적인 틀에 사람의 손길을 더해 ... ...
K팝 작곡-안무가 된 AI
과학동아
l
2018.02.23
1500여 곡 등 13개 음악 장르에서 총 1만 곡 이상이 주크덱의 ‘뇌’에 담겼다. 박 대표는 “
옛날
노래를 학습한 만큼 노래 분위기가 요즘과 다르기 때문에 주크덱이 작곡한 노래를 세련되게 바꾸는 편곡 과정을 거친다”고 말했다. 주크덱이 작곡한 과학동아 주제가에 안무도 넣었다. ... ...
공포의 어린이 놀이터
팝뉴스
l
2018.02.17
사진 설명은 사실인 것이다. 해병 대원들의 훈련 시설로도 위험할 것 같은 곳에서
옛날
아이들이 놀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남매의 금지된 사랑. 과연 가능할까?
2018.02.04
인류 사회에서 근친상간의 금지는 문화적 이유 때문이라는 주장입니다. 아주 오랜
옛날
, 인류가 작은 친족 집단으로 살고 있을 때, 보편화된 족외혼의 풍습이 아직 남았다는 이론이죠. 예를 들어 반드시 다른 부족의 이성과 결혼하도록 강제하는 부족을 생각해 봅시다(족외혼). 시간이 ... ...
국산 AI 스피커를 한 자리에 놓고 써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1.29
추운 날씨에 아침마다 코트를 꺼낼지, 패딩을 꺼낼지 고민할 때 ‘매우 매우’ 유용했다.
옛날
처럼 TV나 라디오 뉴스를 켜고 일기예보를 기다리거나,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조작할 필요없이 칫솔을 입에 물기 전 ‘○○○, 오늘 날씨’라고 말하고 양치질을 하고 있으면 오늘 날씨를 확인할 수 있다. ... ...
[그것을 알려 줄개①] 진돗개, 차우차우...진짜 ‘황금개’는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01.01
안쪽에는 흰털이 나있습니다. ※ 2018 무술년 황금 개의 해가 밝았습니다. 개는 오랜
옛날
부터 인간과 함께 해 온 친구였습니다. 가족의 모습이 변화하고 인간 관계의 양상이 달라지는 현대 사회에서 개는 사람의 반려 동물로서 그 의미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개에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바닷 속 한 켠의 100살 인생 - 대왕조개
2017.12.31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의 수명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오래 전
옛날
이었으면 고려장을 당할 나이는 현대에서는 아주 열심히 사회에서 일할 수 있는 나이로 바뀌었고, 이젠 100세를 바라보는 사람들도 많아지는 것 같다. 제임스 정 제공 누구나 오랫동안 살고 싶은 욕망은 간절할 것 같다. 그런데 바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