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뉴스
"
애벌레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잔디밭에 수상한 건물이 들어섰어요. 겉으로 보기에 길쭉한
애벌레
처럼 생긴 이 건물은 캠브리지대학교 건축학과 학생들과 건축가 톰 에머슨 등이 함께 만든 ‘종이’ 건축물이랍니다. 종이로 어떻게 건물을 지었을까요? 비법은 상자를 만드는 재료인 골판지! 골판지를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알에서 태어난
애벌레
는 도토리 안에서 열매를 먹으며 자라요. 그러다 이듬해 봄이 되면
애벌레
는 똥을 가득 싸 놓은 뒤 도토리를 탈출한답니다. 4월쯤부터 어른이 된 도토리바구미를 만나 볼 수 있을 거예요. 최숙영 숲 해설가님의 재미있는 설명을 들으며 숲길을 걷는 동안 한 봉지 가득 나뭇가지가 ... ...
소나무 재선충병 마지막 방제 현장에 가다
2015.03.27
뿌렸다. 녹색 방수 비닐을 덮고 비닐 가장자리를 흙으로 묻었다. 고사목 안에 있는
애벌레
를 죽이기 위해서다. 이달 11일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인근 야산에서는 올해 마지막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가 한창이었다. 죽은 잣나무들이 갈변한 잎을 늘어뜨려 마치 단풍처럼 숲을 붉게 물들이고 있었다.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많이 번져서.” 침입공만 있고 탈출공이 없는 고사목을 베어내자, 월동 중인 매개곤충
애벌레
가 나왔다. - 광주=우아영 기자 제공 ● 조기진단 어려워… 고사목 제거하는 게 최선 지난해 산림청이 파악한 공식 피해목수는 218만 그루. 우리나라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처음 발생한 이후로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영장류는 과일과 이파리만으로도 충분했습니다. 몸집이 비교적 작은 원숭이는 곤충이나
애벌레
정도 되는 동물성 단백질을 먹기도 합니다. 하지만 오랑우탄이나 고릴라처럼 몸집이 큰 유인원은 거의 채식만 합니다. 거대한 몸집을 유지할 만큼 고기를 많이 구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 ...
애벌레
한번 잡숴봐~
2014.10.08
안정성평가에서도 모두 합격점을 받았다. 윤은영 연구사는 “이번에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가 식품원료로 추가되며 곤충사육농가의 소득 증대와 곤충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미래 식량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장수풍뎅이와 ... ...
생물자원전쟁, 한국이 중재한다
과학동아
l
2014.10.05
주는 뿌리혹선충과 진딧물을 잘 죽인다. 이 곰팡이는 선충의 알무리에 있다가 부화한
애벌레
에 기생해 성장을 억제한다. 두 곰팡이를 찾은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박사는 “해외 생물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자생생물자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올해부터는 ... ...
남성성, 1억8000만 년 전에 생겼다
과학동아
l
2014.04.27
체체파리는 공생하는 박테리아의 염색체 일부를 보유하고 있었다. 어미 체체파리는
애벌레
에게 ‘젖’을 먹이는데, 이 젖 속에는 피를 빨아서는 공급받을 수 없는 영양분이 있기 때문에 공생 박테리아의 도움이 절실하다. 결국 둘이 함께 진화한 결과로 염색체 섞임이 나타난 것이다. 연구진은 ... ...
이 아인슈타인, 도대체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그리고 블랙홀이다! 1905년, 혁명적인 논문으로 ‘기적의 해’를 만들기 전,
애벌레
와 같았던 그의 흑역사 시절을 들여다보고 블랙홀처럼 빠져드는 그의 인간적 매력만큼 여자 관계도 아주 복잡했다고 하는데... 막장드라마 빰 치는 그의 사생활의 단면도 살펴본다. 그리고 이 모든 이야기를 ... ...
뛰는 GMO 위에 나는 해충
과학동아
l
2014.03.19
사진)의
애벌레
는 옥수수의 뿌리를 갉아먹는다. 뿌리에 해를 입은 옥수수는 성장능력이 떨어져 결국 수확량이 줄어든다. 병충해를 이기기 위해 개발된 유전자변형(GM) 옥수수들이 ‘변신’을 거듭하는 해충에게 번번이 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아이오와대 애런 개스먼 교수팀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