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호
불분명
뉴스
"
애매
"(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동물 가운데는 앞발(또는 앞다리)이라고 불러야 할지 손(또는 팔)이라고 불러야 할지
애매
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티라노사우루스의 작은 앞다리는 걷는데 전혀 기여를 하지 않으므로 팔이라고 불러야하지 않을까. 다람쥐는 도토리를 ‘양 앞발’로 쥐고 있는 것일까 ‘양 손’으로 쥐고 있는 ... ...
[써보니] MS의 첫 노트북, '서피스 랩톱'
2017.07.21
스크롤할 때도 매끄럽고 반응도 좋다. 손바닥이 닿으면서 생기는 오작동도 없다. 비교가
애매
하긴 하지만 터치패드는 맥북과 맥OS의 조합만큼이나 좋다. 그동안 봐온 작동이 어색한 터치패드들은 윈도우보다 터치패드 하드웨어 때문이었던 듯하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터치 패드에 자신감이 ... ...
알파고가 전부가 아니다…구글의 인공지능(AI) 기술 TOP 7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6.12
새로운 기술이 허밍버드의 부분으로 들어갔다. 랭크브레인은 사람들이
애매
한 표현이나 구어체 표현으로 검색을 했을 때 원하는 내용을 보여주기 위한 기술이다. 예를 들어 ‘문재인 대통령은 언제 태어났나요’와 같은 검색어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적절한 문서를 찾기가 어렵다. 이 검색어를 ... ...
[WWDC 2017 ④] 새 아이패드와 iOS
2017.06.10
관심도가 예전같지는 않다. 이는 스마트폰이 더 커지는 것, 그리고 생각보다 업무에 이
애매
한 중간계의 기기를 활용하지 않는 습관도 영향을 끼치는 듯하다. 여기에 아이패드로는 아예 일을 할 수 없다는 인식도 빼놓을 수 없다. 지금도 아이패드를 두고 생산성을 논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⑧ 여성은 어떤 남자를 좋아할까?
2017.06.04
역시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주장입니다. 분명 여성이 남성보다 더 복잡한, 그리고 보다
애매
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기준이 있다는 통념은 옳지 않습니다. 사실 인간의 이성 선택 기준은 아주 비슷한 데다가, 남녀 간의 차이를 보이는 기준은 정말 몇 개에 ...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②] 과학기술 독임부처 부활, ‘4차 산업혁명’에 밀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5.31
이관하게 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몸집이 줄어든 미래부를 또 다시 나누기가
애매
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남은 과제는 미래부가 존치하더라도 이전 4년 동안 겪은 문제를 반복하지 않도록 만드는 일이다. 먼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과학기술 분야와 발 빠르게 바뀌는 트렌드를 선도해야 ... ...
갤럭시S8과 디스플레이의 상관관계
2017.04.04
‘표준’처럼 쓰이는 것들은 콘텐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초기 스마트폰은 3:2 정도의
애매
한 디스플레이가 많았다. 2010년을 즈음해 콘텐츠가 HD로 급격하게 바뀌면서 4:3 비율과 16:9 비율이 섞여 있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화면을 모두 끌어 안으려면 중간 정도의 화면이 적당했다. 이후 HD 콘텐츠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식 공룡도 깃털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6
다리를 가졌다는 뜻이다. 대신 잡식성이면서 신체적 특징은 수각류와 비슷해 분류하기
애매
했던 헤레라사우루스과를 용각류와 함께 용반목으로 새롭게 묶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진은 공룡의 진화와 관련된 새로운 단서도 발견했다. 그동안 조류(鳥類)의 조상은 용반목에 속한 ... ...
플리토의 도전...데이터로 언어 장벽 무너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0
문장 전체를 통째로 인식한다. - 구글 제공 물론 사람들의 말과 글은 비논리적이거나
애매
모호합니다. 대화에서 비언어 표현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고, 맥락을 이해하기란 기술보다 예술에 가깝습니다. 인공지능이 사람의 언어를 알아듣고 번역하기가 여전히 어려운 이유입니다. 그래서 최근 열린 ... ...
[카드뉴스] 야식의 기준
동아사이언스
l
2017.03.14
시 30분 이후에 1일 총 섭취 열량의 25~50%이상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위를 말하지요. 숫자가
애매
한 것은 사람마다 야식의 정의를 다르게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마저도 해외에서 정의를 내린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정리가 안됐거든요. 야식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스트레스입니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