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뉴스
"
쌍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선과 충돌한 소행성, 태양계 형성 비밀 알려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수 있는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막기 위해 우주선을 부딪혀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
쌍
(雙)소행성 궤도 수정 시험(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DART)’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다트 우주선은 지구 밖 1100만km의 목표 소행성에 정확히 충돌했다. 충돌 후 약 6개월이 지났다. 영국과 스페인 등 국제 ... ...
[오늘과학] "엄마의 통제적 양육방식, 자녀 정신건강에 해롭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심리적 욕구 충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다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일본에서 408
쌍
의 어머니와 청소년을 모집해 4개월 간격으로 두 차례 (2019년 10월과 2020년 2월~3월)에 걸쳐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다. 연구팀은 24개 항목으로 구성된 부모 자율성 지원 척도를 사용해 어머니의 자율성 지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경우 DNA는 23
쌍
의 염색체에 들어 있으며, 이를 모두 합하면 약 30억
쌍
에 이른다. 30억
쌍
의 DNA는 핵을 가진 사람 세포 어디에나 들어 있으며, 사람의 세포 하나가 가진 전체 DNA를 유전체라 한다. DNA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1944년에 에이버리(Oswald Avery)가 처음 알아냈지만 생명체의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이번 실험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사용해 한
쌍
의 초원 들쥐가 옥시토신 수용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교정했다. 이후 21일 동안 일반적인 초원 들쥐 부부와의 차이를 관찰했다. 옥시토신 분비를 막았지만 초원 들쥐 부부의 행동에는 ... ...
[주말N수학]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1.28
있어요. 그래서 NASA는 인류의 첫 소행성 충돌 실험인 ‘DART’ 임무를 계획했어요. DART는
쌍
소행성 궤도 수정 시험의 약자로, DART라는 이름의 무인 우주선을 ‘디모르포스’라는 소행성에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도록 하는 임무입니다. 디모르포스는 소행성 ‘디디모스’의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 ...
'앤트맨' 구현?…미시세계 속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크기와 방향이 같아
쌍
을 지어 한 입자처럼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입자가
쌍
을 이뤄 움직이는 현상뿐 아니라 유체역학적 '포논'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열에 의해 흔들리면 포논이라는 양자화된 준입자가 열에너지를 결정 전체에 전파한다. ... ...
186년 전통 농업대기업이 위성 산업에 뛰어든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3.01.07
자율농업이 가능한 트랙터를 공개하기도 했다. 360도 장애물 감지와 거리 계산이 가능한 6
쌍
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트랙터로 0.1초 안에 장애물을 감지해 트랙터에 장착된 쟁기나 끌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 ...
[주말N수학] 수학계가 시끌...이탕 장이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
수학동아
l
2023.01.07
생각해 냈고, 2013년 그 유명한
쌍
둥이 소수 추측 관련 논문을 '수학연보'에 발표했다.
쌍
둥이 소수 추측에 대한 논문은 2005년 이후로 한 건도 나오지 않았을 정도로 문제가 어렵기로 명성이 자자했다. '수학연보'는 오랜만에 관련 연구가 나오자 이례적으로 장 교수의 논문을 3개월 만에 검증해 ... ...
[프리미엄리포트] 10년간 힉스 입자 1000만개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12.17
CMS, ATLAS에서 동시에 기존의 이론으로는 계산되지 않는,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광자
쌍
이상 신호(bump)가 발견됐다는 뉴스였다. 이전에 검출된 힉스보다 ‘무거운 힉스’가 검출됐을 가능성, 또는 완전히 새로운 입자가 검출돼 표준모형을 확장할 가능성이 있었다. 표준모형을 넘어선 이론으로 ... ...
뉴런처럼 동작하는 땀 센서로 장시간 질환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8
수 있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땀 센서는 원뿔 형태의 땀 채널(통로) 내벽에 한
쌍
의 전극이 있어 땀이 차오르고 제거되는 과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땀이 차오르면 전기적 신호가 증가하고 땀이 제거되면 전기적 신호가 줄어드는 과정이 반복되며 스파이크 형태의 신호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