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int
sainte
뉴스
"
세인트
"(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주요 증상, 아동은 성인과 달라...후·미각 상실보다 피로감·두통
2020.09.15
분석하는 코로나19 증상 연구를 시작했다. 이를 위해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연구진과
세인트
토마스병원 연구진, 헬스데이터 사이언스 기업 ZOE의 협업으로 증상 추적 앱을 개발했다. ‘코로나19 증상 추적(COVID Symptom Tracker)’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앱은 사용자에게 연령과 성별, 우편번호를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전 세계 대학, 연구소는 바이러스 항암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와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공동연구팀은 태아의 소뇌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종양을 퇴화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 ...
"코로나19 항체, 최장 2개월간 지속"
연합뉴스
l
2020.06.16
최장 2개월 동안 항체 수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을 이끈
세인트
조지 대학의 산제브 크리슈나 교수는 밝혔다. 그러나 항체가 형성된 사람이 향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재차 노출됐을 때 추가 감염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으며 더 지켜보는 수밖에 ... ...
영국서 코로나19 환자 증상 완화에 이부프로펜 시험
연합뉴스
l
2020.06.03
3일(현지시간) BBC 방송, 미러 온라인에 따르면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과 런던 가이즈 앤
세인트
토머스 병원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치료와 함께 이부프로펜을 사용하고 있다. 시험은 일반적인 알약 형태가 아닌 특별 배합된 이부프로펜을 사용한다. 연구팀은 ... ...
"신종 코로나 감염 수용체, 흡연자가 훨씬 더 많다"
연합뉴스
l
2020.04.13
현재 흡연자만 ACE2 수위가 높고, 비흡연자와 과거 흡연자는 낮았다. 이 연구를 주도한
세인트
폴 병원의 제니스 렁 박사는 "과거에 담배를 피웠더라도 현재 금연 중인 사람은, ACE2 수위가 비흡연자와 비슷했다"라면서 "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면 지금이라도 담배를 끊는 게 좋다 ... ...
초대질량블랙홀이 만든 빅뱅 이후 최대 폭발 흔적 확인
연합뉴스
l
2020.03.03
물질을 분출하지는 않고 있다. 지아친투치 박사는 "이 폭발은 몇 가지 면에서 1980년
세인트
헬렌스 화산 폭발로 산 정상이 날아간 것과 유사하다"면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은하단의 플라스마에 구멍을 낸 폭발의 분화구가 우리은하 15개를 일렬로 늘어놓은 것만큼 크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 ... ...
노트르담 '그때의 울림' 다시 느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수 있다. 데미언 머피 영국 요크대 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지금은 벽 일부만 남은 요크의
세인트
메리 대성당의 16세기 음향을 되살려내는 데 성공했다. 고문헌을 토대로 구조를 예측한 후 이를 시뮬레이션에 대입해 과거의 잔향을 되살린 것이다. 2015년에는 잔향을 마이크에 적용한 음악회를 열어 ... ...
미 신종코로나 6번째 환자…CDC "사람간 전염 미국 첫 사례"(종합)
연합뉴스
l
2020.01.31
발생한 우한 폐렴 환자가 격리된 채 치료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일리노이주
세인트
알렉시어스 메디컬센터의 모습.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보건 관리들은 이 신종 바이러스가 감기와 비슷하게 감염자의 콧물이나 침 등을 통해 전염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보건 관리들은 신종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영이나 다이빙을 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지난해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의 에릭 트린카우스 교수 연구팀은 많은 네안데르탈인들이 잠수부들이 많이 겪는 이른바 ‘서퍼스이어(Surfer’s ear)’라는 질환으로 고통받았다는 증거를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 질환은 ... ...
한국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부분이 우리가 아는 통통한 쌀을 탄생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 생물학과와 중국농업과학원 작물과학연구소 연구진은 자포니카 벼와 벼의 조상 격인 야생 벼(루피포곤 벼)의 DNA를 비교한 결과 RNA에서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비번역 RNA’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