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도"(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온 이야기 ①] 인텔, 클라우드에 맞춰 반도체를 다시 그리다2017.07.19
- 여러개 코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리가 2개 있으면 직접 연결할 수 있는 프로세서도 2개뿐이다. 다리 하나를 더 놓는 것으로 3개 프로세서를 연결할 수 있게 되는데, 그만큼 손실이 크게 줄어든다. 물론 직접 연결되지 않은 프로세서를 연결하려면 다른 프로세서를 거쳐가야 하지만 3개를 ... ...
- [WWDC 2017 ②] iOS와 아이패드, 그리고 스피커2017.06.06
- 비해 아이패드의 A10X 퓨전 프로세서는 각 3개 코어를 넣어 성능을 높였다. 그래픽 프로세서도 12코어로 늘어났다. 기존 아이패드 프로에 비해 CPU는 30%, GPU는 40% 빨라졌다. 디스플레이는 이제까지 나온 애플의 기기중에서 가장 좋다. 기본적인 화면 재생률을 120Hz로 두 배 높였다. 애플은 이를 ... ...
- [WWDC 2017 ①] 아마존 만난 애플TV, 머신러닝 품은 애플워치2017.06.06
- 고화질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최근 나오는 인텔의 프로세서나 AMD의 그래픽 프로세서도 이 포맷들을 하드웨어적으로 가속하고 있다. 파이널컷 프로 역시 HEVC 코덱을 더 효과적으로 처리한다. GPU 성능을 끌어낼 수 있는 ‘메탈’은 ‘메탈2’로 업데이트됐다. 그래픽 처리를 위한 API들이 직접 ... ...
- 고래의 폭풍 성장은 빙하기에 시작됐다동아사이언스 l2017.05.27
- F) 제공 고래는 여러모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동물이다. 암에 잘 걸리지 않고, 포유류면서도 1시간 이상 잠수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고래라고 하면 ‘크다’는 이미지가 가장 강렬하다. 평균길이가 1.4m, 무게는 40㎏ 정도인 바키타돌고래처럼 작은 종류도 있지만, 우리 머리 속에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원더우먼’ 부활이 갖는 의미동아사이언스 l2017.05.08
- 어려운 이중성 때문으로 보아야 할지는 알 수 없지만, 원더우먼은 힘과 정의의 상징이면서도, 미의 상징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는 점은 확실하다. 1975년 원더우먼의 첫 TV시리즈 주연을 맡은 인물은 ‘미스 월드 USA’ 였던 린다 카터, 새로 개봉할 ‘원더우먼’ 영화의 주인공 갤 ... ...
- 20만원짜리 윈도 컴퓨터?..MS는 왜 윈도우10S를 내놨을까2017.05.03
- 교실 현장에서는 크롬북과 아이패드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로서도 크롬북에 대응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한 상황이었지요. 어떻게 보면 마이크로소프트판 크롬북이 나오지 않을까 했는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라이선스 정책으로 바꿔서 풀어버렸습니다. 삼성전자나 ... ...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2
- 생각해보세요. 사건의 본질을 이루는 것들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입문서도 과학 근본원리가 충분히 담겨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하면 대중들이 어려워하지 않을까요? ▲누군가는 브릿지(다리)를 놔야합니다. 단순히 현상만 알려준다고 정말 이해를 하게 될까요? 그렇지 ... ...
- [테마가 있는 영화] ‘음악’의 기적, 기적 같은 이야기 ‘서칭 포 슈가맨’2017.04.22
- 선댄스영화제를 비롯한 각종 영화제에서 다큐멘터리 상을 여러 차례 수상한다. 한국에서도 소소한 흥행을 거두었고, 몇 년 후 등장한 음악 예능 프로그램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의 모티브가 된다. 첫 장편 다큐멘터리인 ‘서칭 포 슈가맨’을 연출하고 편집해 영화계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말릭 ... ...
- [심층기획]과기공약, ‘국민의당’이 ‘더민주’보다 진보적 성향2017.03.30
- 크게 보기 진보진영은 과학기술 관련 공약의 분량이 많고 관심사가 다양해 키워드맵에서도 도드라지는 부분이 많았다. ‘비정규직, 출연연, PBS, 폐지, 대학, 평가, 제도, 지역/지방, 재생에너지, 유기농업, 황우석’ 등 핵심단어도 많다. 진보진영에서 강조하는 노동자·환경 친화정책과 연구윤리 및 ... ...
- 결핵 치료제 내성 잡는 기술 개발됐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7
- 300명이 사망에 이른다. 들로름 팀장은 “결핵균은 인류와 가장 오래 살아온 박테리아면서도 아직 모든 비밀이 밝혀지지 않은 존재”라며 “향후 다른 약물들의 내성도 치료할 물질들을 계속 개발해나갈 계획으로 결핵환자들의 궁극적인 치료에 도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