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단
상사
위
윗쪽
꼭대기
표면
윗부분
뉴스
"
상부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위성 무더기 발사에 천문학계 갈등 커져
2019.11.12
1일 1단 로켓을 4번째 재활용한 ‘팰컨9’ 발사에 성공했다. 발사체에 실린 짐을 보호하는
상부
덮개 부품 ‘페어링’도 처음으로 재사용되며 부품을 모두 재사용하는 완전 재사용 로켓의 시대에 한 걸음 다가갔다. 이날 팰컨9에는 우주 인터넷망 구축 위성 ‘스타링크’ 60기가 실렸다. 올해 5월에 ... ...
레이저 쏘면 뇌신경 ‘ON’… 빛으로 동물행동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못하게 하는 뇌 부위인 ‘외측고삐핵’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시상
상부
에 위치한 외측고삐핵이 우울증 환자의 뇌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활성화된다는 연구 결과는 있었지만 케타민과 외측고삐핵 간의 관계가 밝혀진 건 처음이다. 광유전학이 케타민과 외측고삐핵 간의 ... ...
"전세계 인구 100명중 17명은 우울증. 광유전학이 치료길 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전달을 차단하며 이런 외측고삐핵 신경 활성을 억제한다. 후 교수는 “뇌의 시상
상부
에 위치한 외측고삐핵은 우울증 환자에게서 비정상적으로 지나치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영역”이라며 “현재 동물용 마취제로 쓰이는 케타민이 마치 기관총처럼 터지는 외측고삐핵의 비정상적인 ... ...
반도체에 사용되는 나노 패턴, 대면적 제조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전체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 현상에 변형을 줬다. 또 자연적 흡착층의 형성을 막아
상부
의 블록 공중합체 자기조립을 조절했다. 그 결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흡착층이 나노 패터닝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이나 힘을 견딜 정도로 안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존의 나노 패턴보다 더 ... ...
위 점막 재생 돕는 위샘 줄기세포 역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이용해 규명했다. 빠르게 분열하는
상부
줄기세포는 위샘
상부
의 재생을, 느리게 분열하는 하부 줄기세포는 위샘 하부의 재생을 담당하는 특성을 각각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이같은 위샘 재생은 위 점막층 재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련 질병 원인의 규명과 치료에 ... ...
치매 유발하는 뇌 찌꺼기 배출경로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 확률을 높인다. 기존에는 뇌 대사산물이 담긴 뇌척수액이 뇌
상부
에 위치한 거미막융모를 통해 혈관으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정확한 주요 배출 경로와 노화와 함께 배출 기능이 저하되는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거미막융모를 통한 혈관의 경우, 그 통로가 너무 ... ...
녹내장 조기 진단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나눴다. 그리고 빛간섭 단층촬영 장비로 실험참가자들의 시신경을 관찰했다. 그 결과
상부
시신경이 손상된 환자는 사상판이 위쪽으로, 하부 시신경이 손상된 환자는 사상판이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시신경이 손상된 부위와, 사상판이 휘어져 있는 모양이 일치하는 셈이다 ... ...
탐사선 ‘창어 4호’ 첫 연구성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에이킨 분지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당시 어마어마한 규모의 충격으로 달 맨틀
상부
의 물질들이 달 표면으로 튀어나왔을 것으로 보고 있다. 창어 4호는 에이킨 분지에서도 깊은 곳인 ‘폰카르만’ 충돌구에 착륙해 인류 처음으로 달 뒷면 탐사를 시작했다.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의 뒷면은 ... ...
세계 첫 전기 트럭 전용 고속道 독일서 개통
동아사이언스
l
2019.05.12
고속도를 벗어나 일반 고속도로로 진입하면 하이브리드 엔진으로 전환된다. 다만 트럭과
상부
전력케이블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선 트럭의 속도가 시속 56마일(약 90km)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 독일 정부는 전기고속도를 다닐 수 있는 ‘특수 하이브리드 엔진 트럭’을 개발하는 데 7000만유로(약 92 ... ...
차세대 반도체 성능 좌우할 초박막층 거칠기 관리 기준 세계 최초 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발생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실리콘 하부층의 임계 거칠기를 0.27㎚로,
상부
층은 0.18㎚로 정했다. 연구팀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검증을 마쳤다. 연구팀은 미국 측정기업 ‘브루커’와 협력해 반도체 계측에 쓰이는 설비인 원자힘현미경을 활용해 연구결과를 적용해 임계 거칠기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