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반사
뉴스
"
반사망원경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름 25m 거대 망원경 제작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지름 8.4m 반사경 7장으로 구성되는 GMT 개념도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리나라가 지분을 갖고 참여 중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제작단계에 들어설 예정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카네기재단, 호주 천문재단 등 9개 기관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GMT 프로젝트의 세 ... ...
도시 한가운데로 우주가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13.12.03
색수차가 없도록 렌즈에 코팅을 한 제품이지요. 그 외에 보조망원경으로 10인치
반사망원경
과 5인치 굴절망원경이 있고, 실습용으로 4인치 굴절망원경 10대와 쌍안경 몇 대가 있습니다. 이 장비로 무엇을 볼 수 있나요? 달과 행성은 물론 성운과 성단도 가능합니다. 얼마 전 오리온대성운을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올해 2월 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에 상공에서 있었던 소행성 폭발은 100년에 한 번 일어나는 규모의 사건으로 당시 큰 화제가 됐다. 지름이 17~20미터, 질량이 약 1만3000톤으로 추정되는 이 소행성은 초속 20킬로미터의 엄청난 속도로 지구를 향해 돌진하다가 고도 30킬로미터에서 폭발했다. 이때 분출 ... ...
아이손 혜성 결국 먼지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NASA)와 유럽우주청(ESA)이 공동소유하고 있는 태양관측용 인공위성 소호(SOHO)에 장착된
반사망원경
영상을 제공받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아이손은 근일점을 지나면서 보통 혜성처럼 긴 꼬리를 남기지 못하고 부채꼴 모양의 꼬리를 보이고 있어 핵이 소멸했다고 판정된 것. 천문연 ... ...
아이손 혜성, 보이지 않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SA는 수 일 간의 아이손 혜성 궤적을
반사망원경
으로 촬영해 동영상으로 공개했다. 붉은색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이 태양 근일점을 지나 빠져나오고 있는 아이손 혜성의 모습이다. [이곳]을 클릭하면 실제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 ...
[광화문에서]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외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마음이 멀리 있을 뿐이다. 맨눈에 보이는 별은 시골이냐 도시냐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반사망원경
이나 굴절망원경으로 보면 아무런 차이가 없다. 이들 망원경으로 달과 별과 행성을 관측할 때 느끼는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은 바로 감탄사로 이어진다. 별을 보고 탄성을 지르는 경험은 시골에서만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지금 아이손 혜성은 처녀자리의 일등성인 스피카 근처에 있다. 지난 주에는 이 혜성에서 폭발현상이 관측되었고, 그 후 갑자기 밝아졌다고 관측자들은 전한다. 또한 혜성의 핵이 조각이 나지 않았나 의심하는 사람도 있다. 지금 혜성의 꼬리 길이는 3도에 이르고 있다. 또 코마도 4등급대로 밝아서 ... ...
지구를 넘어 화성에서 살 날 곧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사이언스 제공 사막을 달리는 로봇 모습. 실제로는 사막이 아닌 화성의 모습이다. 이번 주 ‘사이언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와 큐리오시티의 임무 수행이 이뤄지고 있는 모래사막 ‘락네스트’를 표지에 실고 지난 1년간의 성과를 특집으로 다뤘다. 큐 ... ...
천문硏, 세계 최고성능 전파망원경 지분 구입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3.08.23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이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인 ‘알마(ALMA)’ 지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망원경 지분을 확보한다는 것은 최고 수준의 우주 관측장비를 우리가 단독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우리나라 천문 연구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의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후텁지근한 한여름밤의 무더위를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공포영화나 무서운 얘기를 접하는 것이다. 온몸에 소름이 돋을 만한 내용이라면 더욱 안성맞춤이다. 우주공간에도 속살까지 시원하게 해줄 끔찍한 형상을 한 천체가 있을까. 2002년 4월 허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