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모니터"(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 CES 휩쓴 한국 기업들…'혁신상' 삼성 44개·LG 24개 석권(종합)연합뉴스 l2020.12.16
- 수상 기록을 세웠다. 최고혁신상을 포함해 삼성전자는 TV(16개), 오디오(3개), 모니터(1개), 생활가전(9개), 모바일(11개), 반도체(4개) 등 총 44개 혁신상을 받았다. TV 부문에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스마트 TV 접근성'이 최고 혁신상을, 가정용 프리미엄 홈 시네마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The Premiere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2020.12.12
- 주사를 놓았습니다. 이내 잠든 삵을 동물병원으로 데리고 와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했습니다. 마취로 깊이 잠든 삵의 호흡이 너무 느려지지 않도록 인공호흡기로 호흡수를 유지시켜야 했기 때문입니다. 삵이 잠든 것을 확인하고, 곧 바로 작은 카메라를 이용해 뱃속을 살펴 보면서 자궁을 ... ...
- 국내 연구팀, 17분만에 코로나19 감염 판별하는 진단기술 확보동아사이언스 l2020.12.03
- 연구단 단장이 직접 개발한 나노 PCR 진단 기기(모니터 앞)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모니터 오른쪽에 보이는 커다란 기기가 현재 쓰이는 RT-PCR 기기다. 김우현 기자 mnchoo@donga ... ...
- 방역당국 고려 중인 '코로나19 자가치료'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2020.11.29
-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방역당국은 자가치료 도입 전 증상 악화에 대한 모니터링체계와 증상이 악화됐을 때 병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자가치료 대상을 가정 내에서 전파를 차단하는 부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젊고 증상이 없거나 경증인 사람들로 ... ...
- 병실 스마트모니터 통해 검사·수술 결과 본다동아사이언스 l2020.10.30
- 향상되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번은 병상 모니터 화면, 2번 병실 입구 디지털 사이니지, 3번 간호사실 대시보드다. 서울대병원 제공 ... ...
- "잠시 지나가겠습니다"…비대면 시대 '서빙 로봇' 만나보니연합뉴스 l2020.10.16
- 로봇 1대도 대기 중이었다. [류수현 촬영] 한 직원이 시범 운영을 위해 로봇에 설치된 모니터에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고 선반에 나물, 김치 등 반찬을 올리자 로봇이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더니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한 식당 직원은 "일단 로봇이 손님 앞까지 음식을 ... ...
- [인간 행동의 진화] 진정한 사랑?...마음 속에서 스스로 생겨나는 것2020.09.27
- 솔직한 행동인 것은 아닐까. 자극이야 꾸밀 수도 있고, 만들 수도 있다. 2차원 모니터에서 보는 미남미녀의 영상에도 ‘반사적’으로 동공이 커지는 것이 우리 인간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위적인 자극’이 없어도 마음속 깊은 곳에서 생겨나는 자발적 행동이야말로 진정한 사랑의 정수는 아닐까. ... ...
- 코로나19 백신 콜드체인을 확보하라 동아사이언스 l2020.09.21
- 않는 밀폐 시약병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온도에 민감하다 보니 온도를 유지시켜줄 모니터링 기술도 중요하다. 백신 바이얼 모니터(VVM)라는 기술을 이용해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화학 물질을 이용해 유통 전 과정에서 온도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 문제는 백신 접종이 매우 ... ...
- 휘는 디스플레이 붙이는 신축성 높은 투명 접착제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09.15
- 제공 고무줄처럼 잘 늘어나고 회복도 쉬운 유연한 접착 소재가 개발됐다. 둥글게 마는 모니터나 휴대전화 등 유연 디스플레이의 소자를 연결하는 점착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동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와 이주학 연구원, 김학선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이 ... ...
- '특허·예측력 세계 2위'…코로나 시대 두각 나타내는 국내 AI-BI 기업들동아사이언스 l2020.09.08
- AI를 도입하는 연구를 하고 있는 남호정 GIST 교수가 대표적인 연구 결과를 보여주는 모니터 앞에 섰다. 단백질 FKBP12과 MAPKAPK2를 AI로 해석해 화합물이 더 잘 결합하는 지역을 찾았다. 붉은색으로 갈수록 결합이 강한 지역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화학연구원 등과 함께 빅데이터 및 AI 기반 신약개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