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개골
훼손 없이 뇌 신경망 구조 고해상도로 본다
연합뉴스
l
2020.12.03
원리를 이용해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현미경)에 반사행렬 현미경을 적용, 쥐
두개골
을 훼손하지 않고도 신경세포 수상돌기 가시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실제 의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미징 속도를 높이는 연구를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것이 상대를 제압하는 효율적인 방법이었을 것이라면서 현생 인류나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화석에 부상 흔적이 많고, 적의 가격을 막다가 아래팔이 부러진 흔적도 자주 발견되는 것을 고고학적 증거로 제시했다. 특히 젊은 남성의 화석에서 이런 부상 흔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냥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고인류 집단일 거란 추측이 있었지만 지금은 현생인류라는 데 이의가 없다”라며 “
두개골
에 크게 이야기할 만한 특징이 없어 그 동안 고인류학에서 많이 논의되지 않았지만 게놈 연구로 다시 주목 받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2015~2016년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이어 201 ... ...
현생인류 Y염색체 밀려난 네안데르탈인 남성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2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Y염색체를 대체했다고 밝혔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
(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에게 면역 등 유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와 거의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4t으로 어른 60명의 무게다. 특히 둔클레오스테우스는 턱힘이 매우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
화석에 남아 있는 턱 주변 근육과 인대 흔적을 통해 추정해 보면, 턱의 힘은 600~750km의 무게로 짓누르는 것과 맞먹는 것으로 예상된다. 둔클레오스테우스는 이 같이 강력한 턱을 0.02초만에 입을 벌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그럴 가능성이 높다. 다만 햇빛 속의 보랏빛이 새나 생쥐와는 비교가 안 되는 두꺼운
두개골
과 먼 거리를 지나 POA에 다다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필자 생각에는 전혀 도달하지 못할 것 같은데 저자들은 실험을 해봐야(원숭이를 대상으로) 알 수 있다는 입장이다. 지방세포는 파란빛에 민감 ... ...
약물 효과 없는 우울증 환자 초음파 뇌 수술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인지기능 저하 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김 교수는 “고집적 초음파를 이용한 수술은
두개골
을 직접 여는 기존 방식이 아니어서 출혈과 감염의 위험이 없다”며 “짧은 시간에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단기∙장기적 부작용이 없어 앞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번 ... ...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뉴욕 경매 나와…예상 경매가 800만달러
연합뉴스
l
2020.09.17
살아있을 때 목뼈를 다쳐 경추 두 개가 붙어 있으며, 다른 T-렉스와 싸우는 과정에서
두개골
과 갈비뼈에 구멍이 난 것으로 분석했다. 크리스티 과학·자연사 부문 책임자인 제임스 히슬롭은 "한 세대에 한 번 있을" 경매라고 했다. ... ...
일론 머스크는 왜 돼지 뇌에 생각 읽는 칩을 심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통신 모듈이 탑재됐다. 외부에서 보면 칩을 심었는지 알 수 없는 셈이다. 머스크는 “
두개골
속 ‘핏빗’과 같다”고 설명했다. 핏빗은 이용자의 운동량이나 심장 박동 등을 측정해 데이터화하는 스마트워치 제품명이다. 머스크는 링크 0.9 또한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연결하는 ... ...
지상 최대 공룡 '티나토사우르' 배아 2㎝
두개골
복원
연합뉴스
l
2020.08.28
단층촬영기법을 이용해 다른 공룡 알들도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알 화석은
두개골
만 남아있었지만 다른 알들은 배아의 피부 조직까지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undrat et al. /Current Biolog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