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준비는 끝났다” ‘천리안2B호’ 발사 D-1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위로 천천히 열리기 시작했다. 약 10분에 걸쳐 약 60m의 문이 열리자 높이 51m의 거대한 흰
기둥
구조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차를 타고 조립동 바로 앞에 다다르자 멀리서 바라볼 때 마다 더 크고 웅장한 모습이 나타났다. 오른쪽 상단에 태극기 모습이, 왼쪽 상단에 ‘천리안2B호’라는 한글이 선명했다. ... ...
[주말N수학]군론을 알면 대칭이 더 재미있다
2020.02.15
수학을 넘어 다른 학문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 물리학의 두
기둥
인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중심엔 ‘리군’과 각종 ‘행렬군’이 있습니다. 화학에서도 ‘공간군’을 통해 분자의 대칭 구조를 분석하고 예측합니다. 대칭적인 평면의 벽지 무늬를 분석한 ‘벽지군’은 ... ...
옷깃만 스쳐도 전기 잡는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바꿔주는 머리카락 모양의 나노구조물을 마찰전기 소자 위에 붙이는 방식을 제안했다.
기둥
모양의 나노 구조물이 수평 방향의 힘에 따라 휘면서 수직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체에 힘이 집중됐다 분산하는 고정에서 힘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 ...
‘맥스터’는 사용후핵연료 공기 중에서 식히는 임시저장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7개의 맥스터가 있다. ‘콘크리트 사일로’ 방식으로 불리는 캐니스터는 하얗고 둥근
기둥
모양의 구조물로 두꺼운 콘크리트로 둘러싼 구조로 맥스터가 나오기 이전의 건식저장시설이다. 맥스터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사용후핵연료를 담은 원통형 저장용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놓은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비판했다. 호주 빅토리아 주 이스트 깁스랜드에서 계속되고 있는 산불로 거대한 연기
기둥
이 만들어져 하늘로 솟아오르는 모습이다. 시드니AP/연합 그는 “지난해 12월 중순 산불이 크게 번져나갈 때 야당인 노동당의 당수는 석탄 수출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표명하기 위해 탄광 지역을 ... ...
[애니멀리포트] 초원수리 민은 어쩌다 통신요금 폭탄을 맞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04
지름 2cm의 나뭇가지를 엮어 만들었습니다. 강한 햇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낮엔 둥지에
기둥
의 그림자가 드리우도록 설계했습니다. 인공둥지 프로젝트를 이끈 생태학자 러셀 벤포드 박사는 “안정적인 둥지는 흰머리수리가 생존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고 말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DB ... ...
[영상+] 수소폭발 日 후쿠시마 원전 3호기 내부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 철근이 외부로 드러난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철제 계단과
기둥
은 심하게 녹이 슬고 표면 페인트도 벗겨진 모습이 보였다. 바닥에는 폭발의 충격으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콘크리트 조각과 금속 구조물 등이 나뒹굴고 있었다. 규제위 직원들은 흰 방호복과 방독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그 위를 지나다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을 수도 있다. TV에서 기름을 발라놓은 나무
기둥
을 올라가는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얼마 못 오르고 계속 미끄러지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텐데 마찬가지 원리다. 윤활유(油)는 있어도 윤활수(水)는 없는 이유다. 그렇다면 왜 기름이 물보다 미끄러울까. ... ...
美 뉴욕에서 가장 오래된 '숲'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넓적한 잎을 가진 아르케오프테리스 등 고대 나무 화석 2종을 발견했다. 둘 다 나무
기둥
은 지금의 나무를 닮았지만, 씨앗을 만드는 대신 포자를 날려서 번식했다. 이들은 고생대 후기에서 중생대까지 번성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생양치류에 속한다. 학계에서는 육상동물이 탄생할 때쯤 이 나무들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진행되는 토론 형식으로 짜여있다. 첫째 날에는 고체의 강도, 둘째 날에는 원
기둥
과 각
기둥
의 강도와 크기 비율에 따른 강도, 셋째 날에는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 넷째 날에는 투사체의 운동을 다룬다. 인간과 같은 모습의 거인이 왜 역학적으로 불가능한가 하는 재미있는 논의가 둘째 날 토론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