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제주도"(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챌린지]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시킨 천재과학자가 한국인?!?! 그분은 바로..기사 l20230801
- 더해서 씨감자를 만들게 됩니다. 또 제주감귤, 제주밀감도 우장춘 박사님 덕이라고 하는데요, 1951년, 우장춘 박사님꼐서는 제주도를 감귤 생산 적지로 선정하셨는데, 신품종을 도입하고 또 선발하여, 감귤 생산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우장춘 박사님께서는 다윈의 진화론을 다시쓰신 업적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논문(공개적인 논문 제외)을 쓰지 않았다 ...
- [챌린지] 빵빵한 배추를 만들어주신 우장춘 박사님기사 l20230730
- 시금치처럼 날씬하던 배추를 빵빵!하게 만들었습니다. 강원도 날씨에는 감자가 맞다고 감자 농사를 시작하여 감자가 유명해졌고, 제주도 날씨에는 귤이 맞다고 하여 귤을 키우면서 제주 귤이 유명해졌습니다. 우장춘 박사님이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마음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이상 강채원 기자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챌린지] 나비를 위해서라면 몸을 사리지 않은 석주명 박사님기사 l20230726
- 기사쓰기 세 번째는 석주명 박사님입니다. 석주명 박사님은 대한민국의 나비 연구가, 생물학자, 곤충학자, 동물학자, 언어학자, 제주도 연구가라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분야에 학자라니 놀라웠습니다. 모든 기사의 내용은 웅진 [바투바투 인물이야기]에서 가져 왔습니다. (출처:동아일보) 석주명 박사님은 원래 나비 학자가 되겠다고 마임 먹은 것은 ...
- 2023 지구사랑탐사대 리더단 심화 탐사 아카데미기사 l20230724
- 가지는 일, 쓰레기를 줍는 일, 플라스틱 일회용품을 줄여쓰는 작은 일부터 실천해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1박 2일 동안 제주도에서 할 수 있는 특별한 박쥐 탐사, 야생 남방큰돌고래 탐사와 동아시아생태학대회 참여를 하게 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리더단 심화 아카데미에 리더팀과 함께 지사탐 대원으로 참여하는 기회가 생겨서 정말 기뻤습니다. ...
- [챌린지] 우장춘 박사님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230723
- 새 지평을 이루었으며, 이 내용은 현대 유전학교과서에서도 중요한 내용으로 소개되고 있다. 7. 유채를 일본으로부터 도입하여 제주도에서 재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2. 정보 출생일 : 1898년 4월 8일 출생지 : 일본 제국 도쿄 사망일 : 1959년 8월 10일 (61세) 사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부모 : 우범선 ...
- (챌린지) 나비의 아버지, 석주명 박사님기사 l20230721
- 합니다. 박사님은 민족문화 향상을 출판 기치로 내건 을유문화사와 손을 잡고 『조선산접류(蝶類)총목록(조선나비의 조선 이름)』, 『제주도의 접류(蝶類)』를 출간해서 우리말 작업을 완성하셨습니다. 1950년 10월 6일 석주명 박사님은 과학박물관의 재건 회의에 참석하러 가다 의문의 총격을 당해 사망하셨습니다. 박사님께서 몹시 아끼셨던 원고는 ...
- 리더팀과 함께한 제주 심화탐사 아카데미기사 l20230720
- 탐사였습니다. 저녘에 다음날 있을 돌고래 탐사 전 돌고래 연구를 하셨던 하정주 매니저님의 미니 강연이 있었습니다. 제주도에 사는 돌고래는 모두 남방큰돌고래이며 주로 대정읍과 우도쪽에 많이 많이 산다고 합니다. 자연에 살고 있는 돌고래 개체수와 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분들은 등 지느러미의 모양과 상처로 구별하여 이름을 붙힌다고 합니다. 등지느 ...
- 바다의 농장 조수웅덩이기사 l20230720
- 작은 조수웅덩이를 탐사해 왔는데 제주도의 조수웅덩이가 어떻게 다를지 알아보고 싶어 탐사하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주도에 대표적인 조수웅덩이 '도구리알' 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도구리알에 가장 큰 특징은 조수웅덩이 인데도 불구하고 매우매우 큰 크기를 지니고 있다는 점입니다. 도구리알에 가장 깊은 곳에 깊이가 3미터라니 ...
- [챌린지]세계 유전육종학의 발전에 이바지한 천재 과학자기사 l20230718
- 기여했습니다. 우리 입맛에 맞는 한국배추와 무도 개발했습니다. 척박한 땅에 잘 자라는 강원도 감자, 그리고 겨울추위를 잘 견디는 제주도 감귤 재배법을 확립했습니다. 20여종의 농작물 종자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1955년에 채소종자의 국내 자급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것이 국내 채소 종자산업시작 계기가 됩니다. 그는 우리나라 배추와 작물의 ...
- 석주명기사 l20230716
- 떠나서 수개월동안 국내외를 자유롭게 다니며 채집여행을 진행한 후 경성제국대학부 설생약연구소 초탁연구원이 되었습니다. 제주도에 생약 연구소 시험장이 생기자 그곳으로 옮겨서 2년 동안 공부했습니다. 1945년 수원 농사 시험장 병리 곤충학 부장으로 발령 받았고 1946년 미군정에서 과학박물관 동물학 부장으로 임명되어서 연구를 계속했습니다.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