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더듬이"(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보면 매력적인 곤충, 개미!기사 l20190407
- 이제 개미의 신체를 알아보겠습니다. 개미의 몸은 다른 곤충들과 같이 머리, 가슴, 배로 나뉩니다. 턱이 매우 발달했고 머리에는 더듬이 한 쌍이 달려 있습니다. 이것들 중 강한 턱은 먹이를 자르고 들어 올리거나 적들을 공격할 때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고 합니다. 여왕개미와 수개미는 날개가 있습니다. 일부 없는 종류도 있지만 거의 모든 개미가 ...
- 집게발에 독침! 전갈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81119
- 꼬리에 달린 독침으로 사냥을 하지요. 얼핏 보면 집게발까지 합해서 다리가 10개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집게발은 다리가 아니라 더듬이 역할을 하지요. 그리고 육류를 먹는 육식성 곤충입니다. 2. 전갈의 분포 전갈은 세계에 약 1100종이 살고 있고 동약에서는 중국과 북한을 포함한 여러나라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습하고 더운 지역에 서식합니 ...
- 나뭇잎벌레기사 l20181023
-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이예진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나뭇잎벌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나뭇잎벌레는 생김새가 나뭇잎 같아서 자신의 천적이 다가와도 잘 구별못 할 수 있을 확률이 거의 (약) 68% 라 ... 닮았지만, 넓적다리의 부채처럼 넓어진 부분의 모양이 조금다릅니다. 수컷은 작고 더듬이가 매우 긴 반면에 암컷은 크고 넓적하면서 ...
- 꿀벌탐사를 다녀와서기사 l20180819
- 17마리의 수벌과 결혼한다고 합니다. 결혼을 하면 벌집의 길이만큼 배가 길어져 알을 낳기가 쉬워진다고 합니다. 수벌은 가슴, 날개, 더듬이, 눈이 발달 되었습니다. 짝짓기에 성공한 수벌은 체액을 주기 위해 배에 힘을 주다가 배가 터져서 죽습니다. 짝짓기에 성공한 것은 좋지만 배가 터져서 죽는다는 것은 너무 안타깝네요. 일벌은 수명이 45일로 ...
- 하늘소 현장교육탐사기록 l20180609
- 털이 있다. 앞머리는 아래로 향하고 가운데에 세로홈이 있다. 정수리 양쪽, 겹눈 주위, 앞머리에 회백색 털이 촘촘히 있다. 촉각(더듬이) 제3마디부터 맨 끝마디까지의 기부는 회백색이다. 앞가슴등판은 검은색이며 정사각형이다. 딱지날개(굳은날개)는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나 회백색 털로 덮여 있다. 몸 아랫면과 각 다리는 검은색이며 회백색 털이 촘촘 ...
- 새봄지윤나윤 - 180429 - 1탐사기록 l20180429
- 장소: 의왕 백운호수 주변밀원식물 :붓꽃, 조팝나무, 민들레, 애기똥풀 등화분매개자:하늘소 종류(이름을 모르겠으나 더듬이가 매우김)벌과 나비(사진을 못찍었음) ...
- 모래의 생물 '개미귀신'에 대해서 아시나요?기사 l20171107
- 굶어 죽습니다. 명주잠자리의 고향은 이처럼 강가 모래 바닥입니다. 명주잠자리는 몸길이 약 4센티미터로 수컷보다 암컷이 크고, 짧은 더듬이는 골프채를 닮아 끝이 뭉툭합니다. 체색은 어두운 갈색으로 몸은 길쭉하고 막대 모양이며, 두 쌍의 날개는 아주 길고, 좁으며 많은 시맥이 촘촘히 나 있어 실잠자리를 닮았지만 분류상으로 아주 다른 무리입니다. 산 ...
- 하늘소 인가요??탐사기록 l20170719
- 더듬이가 엄청 길어요 ...
- 선운산 바이오블리츠로기사 l20170607
- 잡게 되었고 새끼 여치도 잡게 되었다. 이 시간을 통해 전부터 헷갈려 했던 메뚜기와 여치를 구분하는 방법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더듬이가 짧으면 메뚜기, 길면 여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다음 시간에는 지의류에 대해 배웠는데 나는 지의류라는 것을 이번 시간에 처음 알게 되었다. 지의류는 우리가 흔히 보는 생명체이지만 그 이름을 아는 ...
- 사슴벌레의 짝짓기포스팅 l20170119
- 잡은 사슴벌레가 짝짓기를 하는 모습을 관찰해봤어요. 사슴벌레 암컷은 40mm 이고, 수컷은 54mm 입니다. 짝짓기 할때 수컷은 암컷의 등을 더듬이로 비빕니다. 그후 수컷은 암컷이 허락할때 까지 문지르며 기다려요. 암컷이 허락하면 암컷의 등위로 올라가거나 엉덩이를 마주쳐 산란관을 연결합니다. 만약 암컷이 허락하지 않으면 암컷은 도망치는데 수컷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