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꼭 스킨스쿠버 자격증과 보트 조종 면허를 딸 거예요.” "저만의 연구 주제를 찾아,
훗날
그 분야에서만큼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계에 부는 ‘걸크러시’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Part 2. 5人 5色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중요한 건 어디에 붙였냐는 것인데요. 연구팀은 떼어 낸 배아 조직을 두 번째 배아에서
훗날
배 부분을 만들 부분에 붙였습니다. 결과는 괴상했습니다. 마치 샴쌍둥이처럼 머리가 두 개인 올챙이가 나왔거든요(왼쪽 사진). 두 번째 배아로 이식된 첫 번째 배아의 세포들이 유도 작용을 일으켜 원래는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얼마되지 않아 다시 영국에서부터 21세기 새로운 백신 불신의 역사가 쓰이게 됐다.
훗날
사기로 판명된 논문 때문이다. 1998년 2월 의학저널 ‘랜싯’에는 자폐아 12명 중 8명이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을 맞은 며칠 뒤부터 자폐증 증상이 나타났다는 영국 로열프리병원 앤드루 웨이크필드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지 약 한 달이 지난 배아를 들여다보면 기다란 튜브 하나가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훗날
머리를 형성할 부분에서 엉덩이까지 길게 이어져 있죠. 예상한 분들도 있겠지만 이 튜브는 우리가 생각하고 움직이고 느끼는 데에 아주 중요한 중추 신경계로 발달합니다. 엄마가 미처 임신 사실을 알기도 전에,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이용해 호흡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받았다고 분석했다. 남세균은 광합성 유전자를 이용해
훗날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진 광계1과 광계2(131쪽 그림 참조)를 분화시켰을 것이다. 또한 산소호흡 유전자를 이용해 광계2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산소 발생 복합체를 진화시켰을 것이다. 3. 산소호흡, 독자적으로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겹의 세포층을 사이에 두고 주머니 두 개가 붙어 있는 모습이거든요. 위에 있는 주머니는
훗날
양수가 들어갈 부분이고요. 아래에 위치한 주머니는 태아 발달에 필요한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난황으로 발달합니다. 그리고 두 겹의 세포 중에서 위쪽에 위치한 세포층인 ‘배반엽상층’이 총 세 겹의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발생 초기 배아의 엄청난 적응력을 과소평가한 것입니다. 수정란이라는 하나의 세포는
훗날
하나의 개체를 만들어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거든요. 마찬가지로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거듭해 형성된 4세포기, 8세포기의 배아에 있는 각각의 세포도 수정란처럼 개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1940년대부터 SF를 집필하기 시작해 프랑스 SF의 선구자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이는
훗날
의 평가이며, 당시에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해 영화계 쪽으로 방향을 틀어 여러 영화의 대본을 집필했다. ‘시간의 밤’도 원래 영화로 기획했던 작품으로, 예산 문제로 영화 작업이 중단되면서 시나리오를 ... ...
[과학뉴스] 공룡은 새처럼 울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후두를 이용해 소리를 낸다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공룡의 후두에 있던 발성 기관이
훗날
조류의 울대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하나 빠져 있었다. 증기기관에 필요한 정밀한 실린더를 만들 공작기계가 없었다.
훗날
제임스 와트는 존 윌킨슨이라는 엔지니어가 발명한 보링머신 덕을 봤다. 영국의 제철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진 기술이었다.과학을 거대한 네트워크로 치환하면 많은 것이 달라 보인다. 아니, 많은 것이 이상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