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물
혼합물
d라이브러리
"
화합물
"(으)로 총 1,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4중나선 구조가 존재하면 해당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됐다. 또 4중나선 구조를 안정화하는
화합물
을 처리하면 감염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크게 감소하며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떨어졌다. 기존에는 유전자에 담긴 단백질의 정보나 이를 조절하는 후성유전 정보 정도만이 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 ...
[한페이지 뉴스] 고압에선 이런 모습이? 방사성 원소 퀴륨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전자가 반만 채워져 있는 매우 안정한 상태다. 연구팀은 기압이 0GPa일 때 퀴륨
화합물
(Cm Ⅲ mellitate) 속 Cm3+이 두 개의 황 원자와 결합하는 각도가 각각 4°(도)와 9°인 반면, 기압이 11GPa일 때는 각각 13°와 67°가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고압 환경에서 화학결합의 구조가 뒤틀리는 셈이다. 연구팀은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로봇팔에 달린 분광분석기로, 분광 이미지를 찍는다. 분광분석기가 미네랄,
화합물
, 유기물 등을 감지하면 함께 장착된 두 대의 현미경이 픽셀당 10.1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의 매우 작은 물질까지 구별할 수 있는 고해상도로 사진을 찍는다. 2012년 화성에 착륙한 탐사 로버 ... ...
코로나19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마늘의 활성
화합물
은 살모넬라균 등 일부 박테리아(세균)에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증거는 없다. 마늘 외에 거론되고 있는 다른 음식도 있다. 비타민C 영양제와 비타민C가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화합물
합성 라이브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여기서 찾아낸 디프로보씸(Diprovocim)이라는
화합물
을 암 백신의 새로운 보조제로 추가하면 암세포 주변으로 면역세포를 끌어들여 면역반응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한편 1973년 당시 록펠러대 ... ...
[이달의 과학사]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기 쉽지 않거든요.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큰 금속이라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화합물
로 존재해요. 19세기 중반만 하더라도 이를 순수한 금속으로 만들기 어려워 알루미늄은 귀금속으로 취급받았지요.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신분이 높은 손님은 알루미늄 식기로, 신분이 낮은 사람은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이 일을 하는 게 아닙니다. 사회에 이로움을 줄 수 있는
화합물
을 개발하기 위함입니다.”1984년 HIV가 에이즈의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사실 최초의 HIV 항바이러스제는 스타부딘이 아닌, 1987년 FDA 승인을 받은 아지도티미딘(AZT·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부산물 없이 얻어 경제성을 높였다”며 “촉매 반응 중간에 발생한 일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합물
로 제조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촉매 관련 업체들에 기술을 이전해 미세먼지와 병균 등을 제거하는 공기정화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섭취하면 우리 몸은 인슐린을 분비해 글루코스-6-인산을 무려 6만 개의 포도당이 연결된
화합물
인 글리코겐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간에 저장한다. 그리고 간의 글리코겐 저장 한계마저 넘는 경우에는 지방으로 변환된다. 지방간과 같은 질환도 화학적으로는 글리코겐 과다 생성에서 비롯되는 셈이다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19세기 대량으로 생산되며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고분자
화합물
입니다. 이제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꼽힐 만큼 사용량이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국제환경법센터(CIEL)는 2019년 연례보고서에서 전 세계 연간 플라스틱 요구량이 2020년 기준 약 4억t(톤)에서 2100년 약 13.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