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일"(으)로 총 70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표준모형에서 설명하는 세 가지 힘이 왜 지금과 같은 형태인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대통일 이론, 중력이 다른 힘과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하려고 우리 우주의 시공간의 형태를 탐구하는 덧차원 이론 등 여러 이론들이 LHC에서 검증을 기다리고 있다. 지금까지 입자물리학자들은 수많은 실험과 이론적인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표류하던 포르투갈 상선이 일본에 도착하면서 조총 2자루로 시작한 교역은 1590년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다. 에도(지금의 교토)에 수도를 정한 군사정권 바쿠후는 유럽의 선진 학문도 수입하기 시작했다.그러다 종교 개종과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1639년부터 185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것이다.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 PC와 하나부터 열까지 다르다. PC는 하드웨어가 통일돼 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은 하드웨어마다 매번 운영 체제를 새로 이식해야 한다. 설계철학도 다르다.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 PC와 달리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전력을 사용해야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계획이래요. 페트병을 좀 더 제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색이 들어 있지 않은 투명으로 통일하고, 제품 이름이나 성분 같은 내용도 병 안이 아닌 라벨지에 표시하도록 의무화할 계획도 있지요.하지만 이런 계획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도움이에요. 지구의 미래를 위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 있다. 전자기력과 약력, 강력은 하나로 통일됐지만, 중력은 아직까지도 나머지 힘과 통일돼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초끈이론이다.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입자가 아니라 아주 작은 끈으로 보는 이론이다. 이 끈은 끊임없이 진동하는데, 진동하는 유형에 따라 고유의 ...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질병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예요.사실 현재로서는 화병에 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해 통일된 의학적 설명을 제기하기는 어려워요. 최근 새로 개정된 정신질환 진단기준(DSM-V)에서는 화병을 독자적인 질병으로 인정하지 않아요. 공황발작이나 공황장애, 불안장애, 광장공포증, 외상후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수 있게 됐다. 2014년 세계화 속에 살아남기통일벼 전성시대는 10년을 넘기지 못했다. 통일벼는 병충해에 약했다. 무엇보다도 자포니카 품종에 비해 맛이 없었다. 다행히 80년대 들어 비료와 장비의 발달로 자포니카 종만으로 자급자족을 할 수 있게 됐다.쌀을 배불리 먹게 됐지만 성공하기 무섭게 ... ...
- 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중요한 버팀목역할을 합니다. 우선 이들 덕분에 고전전자 기학과 양자역학이 합쳐지면서 통일장 이론으로 발전했습니다. 또한 핵을 이루는 두 힘인 강력과 약력을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지만, 이 방정식으로부터 나온 질량간극 가설은 전자 등의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트다!우리나라에 수학이 도입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그 역사는 깊다. 찬란했던 통일신라시대의 첨성대와 석굴암과 같은 문화유산과,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산학을 다뤘던 국학과 같은 교육기관은 조선 이전에도 수학이 있었다는 증거다. 그러나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의 수학은 미루어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여러 수학자가 쉽게 연결된다는 사실이 놀랍다. 그리고 이런 사실은 세계 수학계의 통일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타 학문에 비해서 수학자들은 국경을 초월한 의사소통을 쉽게 즐기고, 수학의 중심지에서는 세계 어디로부터든지 뛰어난 수학자를 끌어모으는 일이 흔하다. 이런 취지에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