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토양
d라이브러리
"
토양미생물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양쯔강 중류에 위치한 싼샤댐은 세계 최대의 수력발전 프로젝트다. 지지자들은 290억 달러짜리 프로젝트가 홍수를 조절하고 수력 에너지를 공급할 것이라고 하지만 비판적인 사람들은 환경 재해를 우려하고 있다. 신호의 감쇄나 이득을 나타내는 통신 단위예를들어 음성신호 등은 스스로는 멀리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를 반도체뿐 아니라 고분자 물질에서 만들 수 있다는 발견이 탄소를 이용한 고효율 LED 시대를 열고 있다. 이제 얇고 투명한 판에서 만들어지는 유기 LED가 다른 전구들보다 더 밝게 빛나고 있다. 식물의 성장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휴면아의 형성에 관여하고 낙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3월 29일 달 그림자가 지구를 가리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일식은 브라질에서 시작해, 대서양,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를 지나서 몽골 지역에서 마무리된다. 북반구의 아프리카, 유럽, 중앙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 반강자성체의 ... ...
집안 화초 내가 살린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현대인은 도심의 찌든 일상에서 벗어나 숲 속의 맑은 공기를 마시고 싶다. 주말에는 산에도 오르고 싶지만 몸이 말을 듣지 않는다. 그래서 찾은 해법이 식물을 실내로 옮겨오는 것이다. 참살이 열풍이 일면서 집과 사무실에 나만의 작은 숲을 꾸미는 사람이 늘고 있다.처음 애인을 사귀는 것처럼 마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눈과 얼음의 나라 북극과 남극은 결코 쉽게 갈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16세기 유럽인들은 북극 탐험에 나섰고, 이보다 늦은 18세기에서야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남극권 항해에 성공하기까지 수많은 도전과 실패가 있었습니다. 영하의 추위와 가혹한 극지의 환경은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했지요.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대형오징어를 처음으로 촬영했다. 연구팀은 일본 남부 보난섬 부근에서 8m 길이의 대형오징어가 먹이를 공격하는 순간을 찍었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HAL)처럼 컴퓨터일 수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제정된 교토협약서는 35개 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미국은 협약서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 식물의 성장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휴면아의 형성에 관여하고 낙엽지는 것을 촉진한다 약칭은 ABA글루코스 등 당류로부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미국 정부는 수십억 달러(수조 원)를 들여 우주무기를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주무기는 우주에서 지구 어느 곳이라도 공격할 수 있다. 부시 대통령은 곧 우주무기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승인할 방침이다. 신호의 감쇄나 이득을 나타내는 통신 단위예를들어 음성신호 등은 스스로는 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5월 17일 '2005~2030년 과학기술 예측조사'를 발표했다. 우주호텔, 나노로봇 등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 것 같았던 꿈 같은 신기술이 가득하다. 과학자 5000명이 꿈꾼 미래로 시간여행을 떠나보자.가상현실에서 스타크 즐긴다저글링 한 마리가 옆에서 튀어나왔다. 이쯤이야 가볍지.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리 집에서는 지하수를 마십니다.” 환경복원을 연구하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양지원 교수의 말이다.“그런데 근처에 세차장이 생기면서부터 물이 전처럼 깨끗하지 않아요.” 그의 말처럼 요즘 세상에 깨끗한 물을 마시기란 정말 힘든 모양이다. 지하수를 마시는 환경복원공학자라니, 그는 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