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론"(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물질이라는 데서 비롯됐다. 덕분에 암흑물질은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력 효과로 추론만 가능하다. 한 예로 암흑물질이라는 멋진 이름을 생각해낸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는 1933년 코마 은하단에 속한 은하들의 평균 공전 속도를 관측한 결과, 은하단에서 관측되는 별과 성간가스의 ...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생명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현재 살아있는 생명을 역사의 산물로 삼아 어느 정도 추론해볼 수 있다. 현재 생명체들은 수많은 물질로 이뤄져있는데, 과학자들은 그 중에서도 RNA, DNA, 단백질 등을 통해 생명의 기원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특히 RNA는 여러 중요한 성질들을 갖고 있다. 우선 생물의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마찬가지로 시스템반도체 없이는 구현할 수 없다.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은 학습과 추론이다. 두 가지 과정을 반복 실행하며 최적의 답을 찾아나간다. 기존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대규모 연산 처리가 쉬운 데이터센터 서버에서 주로 이를 실행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드론, 자동차, 스마트폰 같은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내놓았습니다. 사람은 1이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답할 수도 하나씩 커진다는 사실을 쉽게 추론하는데, 인공지능은 사람처럼 규칙을 찾고 일반화하지 못 했던 것입니다.이번 연구 결과는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4월 2일 게재됐습니다.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익히고 코딩 능력을 갖춰야합니다. 자, 이제 코딩 명령어를 이용해 기술 통계와 통계적 추론을 맛보도록 할까요? 백진언 연구원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2019년 3월 16일, 일곱 번째 폴리매스 멘토링이 수학동아 편집팀이 있는 사무실에서 열렸어요. 누군가(오상규), 인천 오일러(이관우), Simon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EHT가 보는 블랙홀 그림자의 겉보기 크기는 Sgr A* 쪽이 더 크다. 건반 빠진 피아노 연주곡 추론하듯 영상 얻어앞에서 EHT를 지구만한 크기의 가상 망원경이라고 간단하게 설명했다. 그러나 더 정확히 말하면, EHT의 분해능은 지구만한 망원경의 분해능과 비슷하지만 그 성능은 지구 크기의 망원경(이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켜둔 채 잠들었다가 변을 당했을 가능성이 컸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가능성이 높은 추론일 뿐, 수사팀은 사고 원인을 더욱 확실하게 규명해야 했다. 일산화탄소의 위험성과 그 결과를 사람들에게 알릴 필요도 있었다. 이를 위해 수사팀은 사고 발생 열흘 뒤인 2월 27일 오전 11시, 사고가 발생했던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최근 전 교수는 마이크로소프트, 밀라노 공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고성능 머신러닝 추론 시스템 ‘PRETZEL’도 개발했다. PRETZEL은 기존 방식 대비 응답시간이 5.5배 빠르고, 메모리 사용량은 25배 적으며, 처리량은 4.7배 많다. 이 연구는 지난해 10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에서 열린 시스템 분야 ...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념이 있을 때는 관련된 문제를 풀면서 기존에 알고 있던 개념을 토대로 새로운 개념을 추론했다”며 “문제를 풀면서 개념을 익히면 머릿속에 더 오래 남았다”고 밝혔다. 매년 수능 만점자의 정석과도 같은 답변인 ‘교과서만 봤다’는 이 양에게도 적용된다. 다만 그는 기본기를 다지는 데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아니라 어떤 일을 하든지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늘 수학 공부로 추론 능력을 갖추면 사이비 종교나 다단계 같은 비합리적인 일에 빠질 일은 없다고 말해요.” 교과서 밖에 있는 내용이니, 모두 이해하지 못 해도 좋다.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추가로 알려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