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록빛"(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대표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귀여운 얼굴 덕분에 많은 동물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지! 동물들이 나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궁금하지? 나와 함께 동물원에 가 보면 알 수 있을 거야. 집사 푸푸와 함께 동물원으로 출발~!그런데 동물원에 나보다 예쁜 동물이 있네! 저건…, 꼬리털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460만 년 전, 해저지각의 틈새로 뜨거운 마그마가 분출되면서 독도가 탄생했다. 덩치 큰 제주도, 울릉도가 생기기도 전이었다. 이런 독도에게, 풍화와 침식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운명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대한 오래, 변함없이 지켜주고 싶은 마음에 과학자들이 나섰다. “여기가 ‘깔딱 고개’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은하의 ‘색’에 주목한 적 있는가. 우주에는 우리은하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은하들의 색깔은 대부분 빨간색 혹은 파란색이다. 별은 표면온도에 따라 빨간색, 노란색, 흰색, 초록색, 파란색 등 색이 다양한데, 왜 이들을 품은 은하는 유독 두 가지 색깔로 보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힘바족과 세픽람족이 말한 대로 하늘은 ‘투명한 도화지’다. 해가 뜰 때는 옅은 주황빛, 해가 다 떴을 때는 노란빛, 해가 질 때는 붉은빛을 띤다. 장대비가 내릴 때는 회색이나 검은색, 구름 한 점 없는 가을하늘은 새파랗다. 날씨와 시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하늘 색깔은 보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들었다는 뜻이다. 16진법 FF를 10진법으로 바꾸면 255다. 같은 원리로 빨간빛과 약간의 초록빛을 섞은 노랑은 색상코드가 #FFD400이다. 가시광선 중 파장이 약 470nm가시광선은 파장이 긴 것부터 짧은 것까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즉 무지개에 나타난 스펙트럼 순서대로 보인다. 이 중 ... ...
- [과학뉴스] 화학실험도 아~트하게, 느낌있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화학반응 부산물과 만나면 빛을 내는 나노물질을 플라스크에 넣었다.대조군 플라스크(왼쪽)와 달리 화학반응이 일어난 플라스크(오른쪽)의 색깔이 다채롭게 변하고 있다. 다 똑같아 보이는 시약, 무채색 실험 기구로 가득한 화학실험실은 잊어라. 미국 시러큐스대 매튜 메이어 교수팀이 화학반응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쓱~싹 쓱싹!” 시원이는 깔끔하게 화학실 뒷정리를 하고 밖으로 나와 크게 숨을 들이마셨어요. 따뜻해진 공기, 상큼한 흙냄새…. 주위를 둘러보니 여기저기에 민들레가 가득 피어 벌써 봄이라는 걸 느낄 수 있었지요. 그런데 민들레를 보자 오로라의 얼굴이 딱 떠오르지 뭐예요.“오로라는 날 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혹은 무엇인가의 목숨을 노리면서?그리고, 그러나 숲은 아름답다. 온통 초록빛으로 번쩍이고 녹음을 밤의 줄무늬처럼 드리우며 그 사이사이로 망막을 강타하는 가시광선이 숲과 함께 에너지 변환의 교향곡을 연주한다. (과연 저것이 엽록소가 맞을까? 나무가 맞을까? 햇살이 맞을까? 이것이 과연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독일 튀링겐 주는 바이마르라는 도시로 유명합니다. 괴테와 실러, 니체가 활약한 독일 고전문학·철학의 중심지죠. 이번에 소개할 연구소는 바이마르에서 철도로 20분 거리에 있는 예나라는 도시에 있습니다. 예나는 생태학의 중심지입니다. 1800년대 후반 예나대 교수였던 생물학자 헤켈이 ‘생태학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Very Interesting Event!)”.2015년 9월 14일 저녁. 필자는 e메일 한 통을 확인했다. 라이고-버고 연구단의 분석팀원인 마르코 드라고(Marco Drago)에게서 온 메일이었다. 메일에는 중력파로 추정되는 신호를 발견했다는 흥분 섞인 메시지가 담겨있었다. 한국중력파연구단의 일원으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