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청정"(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하고 결국 화석연료를 이용해야 한다. 뭔가 앞뒤가 맞지 않다. 전기에너지 대신에 무한 청정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할 수 없을까.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한 백진욱 박사팀은 물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40여 종의 광촉매 물질을 발견했다. 광촉매를 물에 넣은 후 햇빛을 쬐면 촉매가 물을 분해해 수소를 ... ...
- 분자 촉매 및 반응공학과학동아 l2012년 11호
- 회사 등의 기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효율 촉매 개발, 신재생 에너지 개발, 청정에너지 개발, 생산 공정관리, 공장 설계 등의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 이밖에 CEO가 되거나 국가 출연 연구소 및 정부 부처에 취직해 신기술 개발 및 국가 프로젝트를 담당할 수 있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 ...
- 내장형 저전력공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더 많은 일을 처리하게 도와준다.이외에도 에너지 소모 자체를 줄이기 위해 청정에너지원을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한다.3 어디에 있어요?스마트 기기들은 성능보다는 실질적으로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내장형 저전력 공학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연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대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손가락을 튕길 때 쓰는 말이고, 찰나는 지극히 짧은 시간, 허공은 모양과 빛이 없는 상태, 청정은 죄가 없이 깨끗하다는 의미다.태반은 절반을 뜻하는 말이 아니다?!조선시대에는 분수를 일컫는 말도 있었다. 현재도 많이 쓰는 말 중에 태반은 절반을 훨씬 웃돌 때 사용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2/3를 ...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핵융합로로 ‘중성자탄’ 만들 수 있을까웨인 그룹(브루스 웨인 소유의 기업)은 새로운 청정에너지원 개발을 위해 고담시 강 아래에서 핵융합로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런데 악당 베인은 핵융합로를 탈취하고 러시아의 핵물리학자에게 중성자탄으로 개조하게 만든다. 중성자탄이란 원자폭탄이나 ... ...
- 균 막으려다 알레르기 생기겠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혈중 IgE항체가 많았다. IgE항체는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 많다.비누나 구강청정제, 치약에 많이 쓰이는 항균성분인 ‘트리클로산’이 소변에 가장 많이 검출된 아이들은 가장 적게 검출된 아이들에 비해 음식 IgE항체가 두 배 많았다. 환경 알레르기 위험도 두 배 정도 높았다. 화장품, 음식, ...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0.01㎍ 먼지가 300개라면 정작 몸에 좋지 않은 미세먼지는 못 거르고 큰 먼지만 잡는 공기청정기일 수 있거든.과학자들은 환기를 자주 하는 게 좋대. 매연이나 황사가 심할 때 빼고는 창문을 열어 공기를 바꿔 주는 게 미세먼지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이야. 미세먼지를 잡아라!우리나라는 ... ...
-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환산한 수치다. 인간의 바다 정복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심해 석유·천연가스 채취, 청정에너지원 활용에까지 이르렀다. 여기서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해 보이는 질문.‘인간은 바다 속에서 살 수 없나.’ ‘바다 속에서 기차가 지나가는 터널은 없을까.’ ‘배는 왜 비행기나 ...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산소는 담수를 전기분해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에너지는 조력·파력·풍력 등 해양청정에너지 설비를 갖추면 된다. 개별 가구가 거주하는 해저주택 모듈도 필요하다. 이들은 모두 지상에서 건조된 뒤 해저로 옮겨 조립한다.개별 모듈의 육상 건조는 어렵지 않다. 문제는 수중 조립이다. 숙련된 ...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유치 경쟁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힘든 것과 같은 이치다. 이 때문에 호주와 남아공은 자국의 후보지역이 상대국보다 전파청정지역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호주는 머치슨 지역이 주민이 거의 없다는 점을 강조했고, 남아공은전파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법률 조항을 제정했다. 대규모 과학기술 제휴 프로젝트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