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장
천정점
꼭대기
양미간
눈살
미간
천문
d라이브러리
"
천정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신소재 콘크리트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모든 건축물에 적합하지는 않다. 구멍이 많아 공기나 물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빌딩의
천정
이나 외벽에는 사용할 수 없다. 우선은 발전소나 제철소 등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대형시설이나 양식장에서 그 능력을 시험할 수 있으며, 도로포장에 사용할 경우 자동차가 배출하는 탄산가스를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급격히 악화되어 '보통'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 고도 30도 되는 지역에서 당신은
천정
을 관측할 때보다 두배나 두꺼운 대기를 뚫어야 하며 25도 지역은 2.5배, 10도 되는 지역은 6배 두께의 대기를 뚫어야 한다. 기층교란의 가장 파괴적인 형태는 각 기층의 경계에서 발생한다. 기층의 경계에서 ... ...
박테리아 이용 조각상 파손 막는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의해 석회암이 녹아
천정
에 배어나와 아래로 떨어지는 게 정상이다. 그러나 이 동굴의
천정
은 방습성으로, 그같은 상식이 맞아 떨어지지 않았다. 무엇인가가 암석표면에 막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생각했다.조사 결과 암석표면에는 박테리아가 무수하게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스타메이트 GX'라는 이름의 이 천문관 시설은 건전지 4개로 작동하는 데, 별의 움직임을
천정
이나 벽에 투영하여 1년 동안의 별자리의 흐름을 즐길 수 있도록 고안돼 있다.세계 각지에서 보이는 별자리를 비추는 기능도 있으며 별자리를 설명해주는 카세트테입도 마련돼 있다. 별을 바라보면서 잠이 ... ...
보고 만지고 타보면서 느끼는 산 체험의 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실험전시실. 관람객들이 직접 두들겨보고 썰어보고 들어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천정
구조물에 탄소섬유를 늘어뜨려 자동차를 매달아 놓았다. 탄소섬유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관람객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가벼우면서 고열에 견딜 수 있어 자동차 엔진에까지 사용되는 파인세라믹,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다. 각각 여러가지 종류의 초점거리가 있다.또한 관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천정
프리즘 필터 연결장치 등 여러가지 부가장치들이 많이 있다. 이 부가장치들은 실제 관측시에 하나씩 실례를 들어 다음에 설명하기로 하자. 이슬에 대한 대비책야외에서 오랜시간 관측을 하면 관측장소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폴룩스와 힘을 합치려는 듯 그들 쪽으로 접근하기 시작한다.이 때의 화성은 이미
천정
근처에 떠있기 때문에 해가 진 후 하늘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면 관측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표면무늬나 극관의 관측은 중구경 이상의 망원경을 갖고 있지 않는 한 힘들다. ■새벽 하늘의 토성이달 20일 이후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체험하게 되는 셈. 레이저터널을 빠져 나오면 비디오터널이 나타난다. 이 터널은 벽
천정
바닥이 모두 비디오 화면으로 구성돼 있다. 화면 내용은 영상관에서 상영한 '에너토피아'의 내용을 축약한 것. 혼란스러울 정도로 많은 비디오 화면에서 관람객들의 시선이 한 주제를 자연스럽게 따라가게끔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라는 놀이기구도 원운동의 '마술'을 잘 보여준다. 로터는 직경 약4m의 둥근 마룻바닥에
천정
이 뚫려있는 원통형 놀이기구다. 사람들은 이 속에 들어가 벽에 등을 대고 선다. 잠시 후 로터의 정가운데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이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 혜성의 모습이 얼마나 크게 보였는지 상상할 수 있다), 꼬리 길이가 30도(지평선에서
천정
까지의 약 1/3)에 달하는 대혜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이후 이 혜성은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모혜성으로 짐작됐고, 1862년 당시의 약 3개월에 걸친 관측 결과를 토대로 이 혜성의 궤도가 구해졌다.이 혜성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