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집"(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빙하 밑에 있는 호수인 ‘빙저호’의 시료를 채집하기도 하지요. 지난 2018년 하계 탐사를 통해 약 720km 구간의 이동 거리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어요. 빙하가 갈라져서 생긴 틈인 크레바스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 거리 사이에 중간에 머물 수 있는 기착지 두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역사적인 발자국을 남겼다. ● 1971. 07. 30 로버 타고 달 표면을 달리다우주인이 달에서 채집한 암석과 토양을 싣고 우주선으로 복귀하고 있다. NASA는 아폴로 11호 이후 유인 달 착륙 임무를 5차례나 더 수행했다. 특히 네 번째 달 착륙 임무인 아폴로 15호 때부터는 달 로버(Lunar rover)를 사용해 더 넓은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계셨거든요. 그분의 조언으로 신종을 등록하려고 남한산성에 다시 가서 여러 번 채집했어요. 갈로아벌레는 땅속에 살아서 제 키보다 더 깊이 땅을 파기를 반복해 총 16마리를 찾았는데 전부 수컷이거나 유충이었어요. 갈로아벌레는 수컷만으로도 신종 등록을 신청할 수 있지만, 암수 한 쌍을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모두 잡은 구피를 집으로 가져갔어요. 탐사에 참여한 손예준 대원은 “민물고기 탐사 후 채집한 물고기를 가져가긴 처음”이라며, “외래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숲 속에 숨겨진 보물 상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엄마가 캡슐 안에 탈피각을 넣는 걸 보고 처음에는 무서웠지만, 나중엔 저도 함께 채집에 나섰죠. 아빠는 살짝 겁먹은 표정이었어요. 제 꿈이 생물학자인데 자연과 함께하는 좋은 시간도 보내고, 미션을 잘 수행해 나중에 상까지 받았어요. 정말 기쁜 하루였답니다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자라거나, 자외선이 강해지면 군체를 이루는 종류도 있죠. 저는 남해에 사는 미세조류를 채집하여 환경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 중이랍니다.Q남극에는 어떻게 가시게 되었나요? 반대가 있지는 않았나요?어렸을 때는 남극에 갈 생각이 없었고, 여자가 갈 수 있는 곳도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관찰이 가능했어요. 그런데 배윤혁 연구원은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매미 약충을 어떻게 채집할 수 있었을까요?“이 매미 약충은 잡은 게 아니라, 저희가 직접 키운 거예요. 최근 우리나라 최초로 실험실에서 매미의 알을 인공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수백 개의 알 중에서 2~3개의 알만 부화에 ... ...
- [지구를 위한 과학] 고기를 만나러 강으로 갈까나~♪♬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강원도 인근의 생물상을 기록해 생태계 기초 자료를 만들고 있지요. 또 탐사에서 채집한 생물을 함께 공부도 하기도 해요.“한번은 동아리에서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던 춘천 강촌천을 찾았어요. 그런데 바닥은 전부 포크레인으로 헤집어져 있고 물가엔 콘크리트가 채워져 있었어요. ‘강촌천 ... ...
-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밝혔어요. 봄과 여름에 하루씩 황해에서 3시간 마다 그물을 내리며 깊이에 따라 생물을 채집해, 동물플랑크톤이 밤마다 식물플랑크톤이 모인 높이까지 올라온다는 걸 확인했지요. 황해에서는 동물플랑크톤 중 생물량이 가장 많은 크릴류와 두번째로 많은 요각류가 이와 같은 이동을 한답니다 ... ...
-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따라 곤충을 채집하러 다녔어요. 그러다 어느 날, 높은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말매미를 채집해서 자세히 보고 싶어진 거예요. 그래서 몇 년 동안 말매미만 쫓아다니다 결국 잡는 데 성공했어요. 자세히 보니까 더 예쁘더라고요. 그때 느꼈던 기쁨을 잊을 수 없어 아직도 곤충을 쫓아다닌답니다. Q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