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땅을 적게 파고도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다. 1967년 체결된 국제 우주조약도 민간 기업
중심
의 소행성 자원 채굴을 뒷받침한다. 우주조약은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서 국가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고 명시했지만 민간 기업의 소유권을 제한하고 있지는 않고 있기 때문이다. 민간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는 다른 은하의
중심
에서 파악한 일반적 특징이 우리은하
중심
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리라 간접적으로 추론하는 연구가 많다. 그러나 우리은하의 심장이 뜨거웠던 과거를 직시하는 방법도 더 발전할 것이다. 인류는 느리지만 분명히 우리은하 심장 깊은 곳으로 한 걸음씩 ... ...
[냠냠! 어수잼] 완벽한 '원'은 지름에서부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9호
그 원의 지름을 따라 나누면 돼. 지름은 원을 똑같은 모양 둘로 나누기 때문이야. 원의
중심
과 지름을 이용해 우리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무늬를 그려 볼까 ... ...
[출동, 슈퍼 M] 음료수 캔은 왜 모두 원기둥 모양인가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9호
평행이고 같은 크기의 원으로 되어 있는 기둥 모양의 입체도형을 말해요.지름★ 원의
중심
을 지나고, 원의 둘레 위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을 말해요.mL★ 액체의 양을 재는 단위로 ‘밀리리터’라고 읽어요. 1mL는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cm인 그릇에 담긴 액체의 양을 말해요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은하의 질량 사이에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발견됐다. 은하가 무거울수록 그
중심
부에 있는 거대질량 블랙홀도 더 무겁다. 그동안 천문학자들은 초기우주로 갈수록 은하의 질량이 블랙홀 질량보다 상대적으로 작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제임스 웹의 고해상도 영상을 연구한 결과, 우주의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이론 교육을 무시할 순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론을 개념
중심
으로 잡는 편이죠. 자체 교재를 핵심 위주로 정리해 수업하면서 모의고사 등에서 발췌한 문제 풀이도 병행합니다. 이런 구성 아래 학생들의 흥미를 지속시키기 위해 STEAM이나 실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죠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산발적으로 다루는 방식이었다. 그에 반해 ‘우주탐사 메뉴얼’은 우주탐사를
중심
에 둔 ‘우주탐사학’이란 실용 학문의 체계에 따라 필요한 지식들을 재구성했다. 한국에서 달 천문학이라는 새 영역을 개척하며 다수의 제자를 길러내 우주탐사 연구의 지평을 넓힌 저자는 이 책을 쓰는 데 ... ...
[과학사 극장] 다윈은 용물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당시 보편적이던 용불용설은 부정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다윈은 자신의 자연선택
중심
의 진화론에 용불용설을 통합시키기 위해 유전 이론을 고안하기까지 했던 것이다 ... ...
[Levle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날 기념! AI 방정환 선생님의 미디어 사용 선언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균형은 중요합니다. 짧고 자극적인 디지털 미디어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책과 같은 글자
중심
의 미디어는 재미없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또한 디지털 세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는 조금 다를 수 있어요. 디지털에서 중요한 것들이 현실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수 있거든요. 어린이들은 ... ...
[어수티콘 사전] 구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원 위의 어느 점을 연결하더라도 모두 반지름이 되는 것처럼, 구의 표면도 모두 구의
중심
에서 똑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서 반지름이 항상 같아요. 그래서 구는 어느 방향에서 봐도 항상 원 모양이고, 어느 쪽으로 잘라도 그 단면은 항상 원이 되지요. 용어 정리부피★ 어떤 공간에서 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