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죽은사람"(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귀인 김수동! ‘CG옥’에 온 걸 환영합니다. 지금부터 처음 보는 세계를 맛보게 될겁니다. 나를 따라오십시오. 하지만 정신은 바짝 차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곳에선 뭐가 진짜고 뭐가 가짜인지 알 수 없을 테니까요. ‘신과 함께1’은 남을 구하다가 죽은 소방관 ‘김자홍’이, ‘신과 함 ... ...
- [교과연계수업] 별이 되어 떠난 천재 과학자, 스티븐 호킹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며칠 전 2018년 3월 13일(현지시각). 제2의 아인슈타인이라고 불리는 천재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생을 마감했어요. 청년시절 루게릭병을 진단받고 시한부 판정을 받았지만, 불굴의 의지로 76세까지 삶을 이어오면서 위대한 과학적 업적을 남기고 포기하지 ...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째깍째깍”. 시간이 흐르는 소리가 좁은 방을 감돌았다. 수학 수수께끼를 좋아하는 사람을 초청한다는 기묘한 초대장을 받은 우리는 지금 낯선 방에 갇혀있다. 들어왔던 문은 도무지 열리지 않고 도움을 요청해도 밖에서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방을 둘러보니 낌새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프랑켄슈타인이 작품에 등장하는 괴물(피조물)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사람이 많습니다. 흔히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제목과 함께 괴물이 그려져 있기 때문에 그런 오해가 생긴 거지요. 사실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의 이름이 아니라 괴물을 만든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이라는 과학자입니다. 프랑켄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100여 년 동안 유전학자들이 추측만 하던 문제가 어느 정도 풀렸습니다. 코 모양이 기후와 관련이 있다는 내용인데요. 춥고 건조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콧구멍은 좁고 길쭉하고, 덥고 습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콧구멍은 넓고 짧게 진화했다는 겁니다. 간단해 보이는 이 가설을 증명하는 데 왜 그렇게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햄최몇?’ 인터넷에서 ‘햄버거를 한번에 최대 몇 개까지 먹을 수 있냐’는 질문을 ‘햄최몇’으로 줄여서 쓰곤 한다. 이 질문을 던지고 싶은 사람이 나타났다. 탑처럼 높게 쌓인 고열량 ‘폭탄 버거’를 보란 듯이 7분 만에 먹어 치운 주인공이다. 독자들에게 고열량 음식이 인체에 미치는 영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18년 05호
- ※ 주의! 이 기사에는 그동안 상영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영화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8 #84,000,000 #15,000,000,000,000 위는 마블 스튜디오★(이하 마블)가 지난 10년 동안 세운 기록을 나타내는 수다. 마블은 2008년 개봉한 아이언맨을 시작으로 2018년 2월 개봉한 블랙 팬서까지 총 18편의 영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박테리아는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미생물을 말해요.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지만, 막대 모양, 공 모양, 원통 모양 등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지요. 양분을 먹고 유기물을 만드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혼자서도 살 수 있답니다.박테리아는 자연이나 다른 생물의 몸 등 지구 곳곳에 살며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5월 10일은 바다식목일입니다. 육지에 나무를 심는 것처럼 바다에 해조류를 심어 숲을 만드는 날이에요. 바다에 왜 숲이 필요한 걸까요? 또 해조류는 어디에 심는 걸까요? 답이 궁금하다면 초록 바다를 위해 열일 중인 인공어초를 만나러 가봅시다. 풍덩~. “마치 사막과 같습니다. 아무것도 보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마음이 아파.”라고 말할 때 여러분은 어디를 가리키나요? 대부분 아마 가슴에 손바닥을 갖다 댈 거예요. 흔히 마음이 가슴에 있다고 믿기 때문이지요. 또 마음을 표현하는‘ 하트’ 역시 심장의 모양에서 따 왔답니다. 우리는 왜 마음이 가슴에 있다고 믿게 된 걸까요? 가설1 마음은 가슴에 있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