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문의 탄생은 우연의 연속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두 사람의 지문이 같을 확률은 640억 분의 1이라고 해요. 이는 로또 1등 당첨 확률인 840만 분의 1보다 무려 1만 배가량 낮은 확률이죠. 어 ...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용어정리*배아 :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상태부터 8주까지의 개체를 배아라고 말하며, 그 이후를 태아라고 한다 ... ...
- [메타버스 활용법] 액션 모드와 AR 필터로 신기한 영상 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편집자 주] 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수있도록 ... 시간에는 제페토 캐릭터로 친구들이 좋아하는 웹툰을 제작하는 방법을 알려줄게요. 기대 많이 해주세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오바~ ... ...
- [연구실은 미니멀리즘 그 자체] 공책, 다면체 모형, 그리고 모래시계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있어요. 허 교수는 이 모형을 모으는 게 취미예요. 허 교수의 박사 과정 시절 첫 연구 주제가 다면체와 관계가 있어 좋아하게 됐대요. 작년 가을 아들의 학교 반 친구 7명 앞에서 수학자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짧은 강연을 했을 때도 다면체를 소개했지요. 초등학교 저학년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 ...
- “2달 동안 증명법을 4개 만들며 한계에 도전하는 법을 배웠어요”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논문으로 나왔나요? 니카에아 : 발표를 들은 교수님들의 의견에 따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 학술지에 증명 결과를 담은 논문을 제출했어요. 현재 심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예요. 이번 경험은 각자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켈시 : 한계에 도전하는 법을 배웠어요. 가끔 ... ...
- [과학뉴스]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 ‘식탐’도 조절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렐린이 만족감을 느끼는 데 관여하는 편도체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태어난지 8주 된 쥐들의 편도체를 관찰했다. 연구팀은 쥐 편도체의 신경세포들을 어떤 mRNA(단백질 생산을 위한 설계도를 전달하는 RNA)를 만드는지에 따라 분류했다. 그 결과 크게 9개의 신경세포 군집으로 나뉘며, 그중 4개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육상곤충인 대벌레의 경우 곤충에게 작용하는 병원성 곰팡이인 녹강균을 뿌려주면 1주일 내에 사멸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했다. 수서곤충의 경우 물고기나 조류 등을 이용해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적으로 적을 물리친다. 고대 중국의 병법서 ...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많은 분이 저의 학업적 성취에 감탄하며 천재라고 추켜세웁니다. 무슨 수학 문제가 주어지든 제가 가뿐히 해결할 거라고 생각하지요. 천만의 말씀입니다. 수학은 저에게 가장 많은 괴로움을 준 요인입니다. 제가 시험장에서 나오며 눈물을 흘렸던 시험은 모두 수학 시험이었습니다. 수십 분 동안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탐험 도중 종종 아름다운 수정 동굴과 마주치게 됩니다. 이때, 동굴 속 광물을 채취해 자원으로 쓸 수도 있고, 동굴을 자연유산으로 보존할 수도 있죠. 개발과 보존의 선택을 직접 해야 하는 겁니다. 당장 목숨이 경각에 달린 정착 초기라면 자원으로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세포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해 주는 운반체로, 크기에 따라 이름이 다양하다. 최근 주목받는 ‘엑소좀’은 대략 100~2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매우 작은 세포외소포체다. 공동연구팀은 유글레나 그라실리스에서 베타글루칸(면역, 피부재생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다당류)이 가득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편집자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성진우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