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도성 물질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고, 실험에서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고분자 종이 제작에 성공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2019년엔 전도성 종이 실험의 연구 결과를 대한화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하기도 했죠. 이 실험은 꾸준히 보완해 2023년부터 1학년 통합과학 과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 ...
- 레고시티와 함께하는 소방 안전 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불이야~! 화재가 발생했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화재를 예방하려면 무엇을 조심해야 할까요? 지난 4월 4일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 에서는 경민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현성호 교수님의 소방 교육이 생방송으로 진행됐습니다. 1교시. 보이지 않는 불이 있다?! 소방 안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세포는 어느 정도 자라면 더 성장하지 않고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다. 그런데 간혹 신진대사가 비정상적으로 이뤄지며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세포들이 있다. 암 ... 단 하나의 병이라도 치료하는 데 힌트가 되는 것입니다.”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보고 싶은 콘텐 츠들을 찾아 목록을 작성 하고 OTT에서 이용 정보 를 확인해 보세요. 등급, 제작 연도, 작품 소개, 장 르 등을 정리해 봅시다.참여 방법 팝콘플래닛 홈페이지 – 플레이콘 놀이터 - 토크토크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 [Extended 에디터 노트]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에디터 노트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MR)이 혼합된 확장현실(XR・Extended Reality) 콘텐츠로 제작했습니다. 애플의 ‘비전 프로’, 메타의 ‘퀘스트 3’ 등 원하시는 XR 헤드셋을 착용(했다고 가정)하고 8월호 소개를 몰입감 있게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당신은 오늘따라 기분이 좋다. 배는 적당히 부르고 햇살은 따사롭다. 콧바람을 흥얼거리던 그때, 평소 갖고 싶었으나 망설이던 물건이 눈에 띈다. 가방일 수도 ... 일상을 누리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제작지원.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F 단축키로 우리가 원하는 단어를 찾는 것과 유사하죠. 장 교수팀은 형광 탐침을 수천 개 제작해 전체 염색질 서열을 뒤덮게끔 설계했습니다. 그리고 형광 탐침을 순서대로 하나씩 염색질에 부착해 각각의 부착 위치를 초고해상도 이미징으로 관찰했습니다. 따라서 이 초고해상도 염색질 구조 추적 ... ...
- (광고) 수상한 생선의 진짜로 해부하는 과학책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물을 넣었더니 다음날 정말 유생이 헤엄치고 있는 것을 발견해 신기했지요. Q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힘들었던 적이 있었나요?거머리에게 직접 물려보는 실험이 힘들었습니다. 거머리가 마취 성분의 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에 별로 안 아플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아파서 당황했지요. 맛조개 해부 ...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케일이 가르쳐준 ‘관심’의 중요성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수 있는 물의 양이 대원 한 명당 5L다. 지구에서 샤워할 때 쓰는 물의 10분의 1이라, 특수 제작된 화성용 샤워기를 사용하더라도 5분이면 물이 끊긴다. 샤워 도중 상념에 잠깐 잠기기라도 하는 날에는 사단이 난다. 화성에 도착한지 46일째 되던 날이 딱 그랬다. 케일 재배를 시작하는 날이라 그랬는지,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구조가 간단하고 유연성이 높아 소형화에 유리하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소재로 제작 가능해 상용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2년에 개발된 이래 관련 기술이 급격히 발전해 이젠 우리의 에너지 사용 패러다임을 크게 바꿀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는 초기 연구단계에선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