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종
d라이브러리
"
절멸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동서횡단 유니언퍼시픽철도가 개통된 후부터 오락스포츠와 발달된 총기류로 인하여
절멸
위기에 도달하게 되었다. 학자들은 들소가 격감된 원인중의 하나로 들소의 우직스러운 천성을 지적한다. 들소는 동료가 사살되어도 도망가지 않고 부상을 당해도 반격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수컷은 암컷보다 ... ...
산불의 냉각효과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혜성이 6천5백만년전에 지구와 충돌, 모든 공룡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상의 생물들을
절멸
시킨 대 재난을 초래했다는 견해가 등장한 것이다.해가 거듭될수록 이 충돌설을 지지할 증거가 늘어났으며 아직 의문이 남아있고 다른 견해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에 관한 이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에 의하면 은행나무는 아득히 먼 지질시대, 약 2억년전부터 존재했었으나 모두
절멸
됐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 사천성의 산골짜기에서 단 한그루 살아남은 은행나무가 발견돼 다시 전세계에 퍼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전세계의 은행나무는 중국 사천성 은행나무의 후손들인 셈이다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먹지 않고 작은 물고기만을 잡아 먹는다. 이에 따라 빅토리아호의 2백여종 물고기가 거의
절멸
상태에 빠져있으며 호수근처에 사는 원주민의 가장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고갈되고 있다는 것이다. 30여년만 호수의 폭군으로이 농어가 처음 발견된것은 50년대 후반이었다. 원래는 나일강에 살고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역사라고 할만큼 많은 생물이 사라져 갔다. 미국의 진화학자 '심프슨'은 "종의 99%는
절멸
했다. 인류가 생존하느냐 멸망하느냐는 1:99의 도박이다"라고 단언했다. 과연 인류 진화의 미래는 이처럼 어두울까 ... ...
이전
8
9
10
11
1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