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으)로 총 77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전류가 더 많이 흐를 수 있게 된다. 즉, 저항이 낮아진다.멤리스터의 TiO2 층은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눠져 있어 한 쪽은 산소 공공이 많고, 다른 한 쪽은 수가 적다. 이 상태에서 전위차가 발생하면 산소 공공이 이동하게 되고,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며 전류량이 증가한다. 전원이 꺼져 전류의 공급이 ...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어 레이저 같은 광소자에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런 그래핀의 특성을 역으로 이용했다. 두 나노레이저를 가깝게 위치시키고 한 쪽 레이저에만 그래핀을 덮어 빛이 손실되는 부분과 발생하는 부분을 따로 분리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색이었던 빛이 한 가지 색으로 바뀌는 현상을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두터운 복합장갑 외골격으로 온몸을 감싸고 3.5m에 달하는 신장에서 내려다보는 대역폭 확장 시야에 접속해 주위를 둘러보자 무엇이든 부술 수 있다는, 어떤 것도 두렵지 않다는 근거 없는 자신감에 신경계가 불타오른다 (사실은 접속과 동시에 혈관에 각종 각성제와 흥분제가 투여된 까닭이다).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SLM은 홀로그래피 원리로 기록한 데이터를 빛의 회절성을 이용해 3차원 공간에 띄우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에 강의나 발표를 할 때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생각해 보자. 스크린에 화살표나 동그라미 모양을 표현한다고 해서 이를 축소한 패턴이 레이저 포인터 끝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빛은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영향을 받을 수 있다.그래서 전문가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으며, 역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해 건강을 증진시키는 콘텐츠도 개발하고 있다.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다. 또 언젠가는 홀로그램 기술을 실현시켜 아무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에펠탑도 보입니다. 파리까지 갔는데 맛있는 빵을 맛보지 않을 수 없겠죠. 당페르-로슈로 역 근처에는 고소한 빵냄새가 솔솔 풍기는 예쁜 베이커리 카페가 즐비합니다. 아침과 점심에는 커피와 함께 한 끼를 해결하는 사람들로 꽉 찬다고 하니 그 틈에 섞여 파리지엥 기분을 내는 것도 좋을 것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공포는 어떤 물건이나 상황에 대해 느끼는 큰 두려움을 뜻해요. 특정한 상황에서 심한 공포를 느끼는 증상을 ‘공포증’이라고 부르지요. 높은 곳에서 두려움을 느끼는 ‘고소공포증’, 밀폐된 공간에서 두려움을 느끼는 ‘폐쇄공포증’, 어둠에 공포를 느끼는 ‘어둠공포증’ 등이 대표적인 공 ... ...
- [한자 과학풀이] 면역(免疫)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역(役)’이 좀 더 간단한 모양의 ‘수(殳)’로 바뀌며 지금의 모습이 되었어요.한편 면역은 심한 자극을 받아도 예민하게 반응하지않는 ‘무감각 상태’를 나타낼 때도 쓰인답니다. 질병은 병을 뜻하는 두 개의 글자가 합쳐진 단어예요. ‘질(疾)’과 ‘병(病)’은 공통적으로 ‘병들어 기댈 녁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면에서 단위 면적 당 수직으로 누르는 힘, 또는 그 힘의 크기를 뜻하지요.압력의 한자 역시 단어의 뜻과 마찬가지로 ‘누를 압(壓)’과 ‘힘 력(力)’으로 이루어졌어요. ‘압(壓)’은 ‘흙 토(土)’의 뜻과, ‘압(厭)’의 뜻과 음이 합쳐져 만들어졌지요. ‘압(壓)’은 ‘누르다’, ‘막다’,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용한 검증도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다. 우주에 방향이 없다면 은하의 통계적 분포 역시 어디서 관측하나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필자도 2014년 북반구에서 관측된 은하의 구조와 남반구에서 관측된 은하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측정했다. 하지만 그 차이는 오차 범위 밖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