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휴머노이드 로봇이나 4족보행 로봇은 일부분에 불과하다. 인간을 돕는 로봇은 다리가 달린 로봇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세 로봇들의 다채로운 형태를 영상과 함께 살펴 ... 협동로봇에 지능을 더하는 원리가 궁금하다면 3파트를 확인하자. QR코드를 스캔하면 RT-2의 활약 영상으로 연결된다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추진력을 얻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된 연구에는 구글 딥마인드 주도로 전 세계 약 21개의 연구팀, 100명이 넘는 연구원이 참여한 ‘RT-X’ 모델 연구가 있다. doi: 10.48550/arXiv.2310.08864 국제 공동연구팀은 로봇공학에서도 학습 모델 통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22개의 서로 다른 로봇을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ECHR)의 판결 사례를 학습했다. 알고리즘의 예측은 유럽인권재판소의 실제 판결과 약 79% 일치했다.GPT, 미국 변호사시험 합격하다 재판을 예측하는 AI 판사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이처럼 활발했음에도, AI 판사는 실제 재판 제도에 정착되거나 확산되진 못했다. 판결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이나 법적,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스트레스, 식습관, 음주 등) 외에 유전자가 미치는 영향 정도가 약 75%라는 뜻입니다. 유전적 요인에 꽤나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죠. 원형 탈모의 경우 유전율은 매우 낮습니다. 유전자보다는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준다는 뜻입니다. 돌이켜보면, 제가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라고 합니다. METI의 대표적 사례는 1974년 11월 16일, 지구로부터 약 2만 5000광년 떨어진 구상성단 M13에 보낸 ‘아레시보 메시지’입니다. 카리브해 미국령 섬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서 쏘아 올렸죠. 아레시보 메시지에는 수 체계, DNA,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분열된 틈으로 재빠르게 솟다 100km 아래의 지구 내부는 온도가 수 백℃에 이릅니다. 만약 다이아몬드가 지표면 근처로 끌어올려질 때 그 속도가 빠르지 않다면 다이아몬드는 흑연이나 이산화탄소로 변해버리고 말죠. 즉 이번 다이아몬드 여행의 핵심은 속도입니다. 세 번째 여행의 주인공은 ... ...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원은 참깨박을 물과 에탄올에 넣어 추출한 결과, 물에 녹는 리그난이 참깨박 100g당 약 10mg만큼 남아있는 것을 확인했어요. 김 연구원은 “참깨박 등의 유박은 기름만 짜고 남은 원료이기 때문에, 지방 함량은 낮고 식물성 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영양 성분 함량이 높다”며 “동물성 단백질이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 발견에 작고 큰 상금이 걸려 있다. 새로운 메르센 소수를 발견하면 무조건 3000달러(약 392만 원)를 받는다. 여기에 발견한 메르센 소수의 자릿수가 직전에 발견된 메르센 소수의 자릿수보다 100만 자리가 늘어날 때마다 5만 달러(약 6500만 원)를 추가로 더 받는다. 그러다 보니 전 세계 기록 싸움이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문제는 ‘바젤 문제’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오일러는 1735년 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일약 유명 인사가 됐다. 갑자기 등장한 π와 소수 그런데 오일러는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젤 문제를 소수로 이뤄진 하나의 식으로 유도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오일러를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교수는 “한국의 에너지 정책은 재생에너지를 줄이려는 기조인데도 재생에너지 3배 협약에 사인을 했다”며 “앞으로 재생에너지를 늘리려는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노력한다면 목표 실현이 가능할까하는 기자의 질문엔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규모가 워낙 작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