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강한 열망이 설립의 큰 동력이 됐습니다. 즉 한국 과학정책 안에서 기초과학은 오랫동안 응용 및 개발을 위한 연구였다가, 언제부턴가는 노벨상을 받기 위한 연구로 다뤄진 것입니다. 혁신보다는 가시적인 성과를 위한 행보였습니다. 과학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이 필요하다 2009년 당시 미국 버락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축이완하면 진동막이 들어갔다 나오면서 소리가 난다. 이 소리는 텅 비어 있는 몸통 안에서 공명하며 울려 퍼진다. 하지만 암컷 매미는 진동막도 없고 뱃속은 알로 가득 차 있다. 미국 쿠란트수학연구소는 매미의 진동막에 붙어 있는 발음근의 길이와 진동막이 떨릴 때 원래 달려 있던 위치에서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원하는 기능이나 개선점 같은 사용자의 의견을 많이 받아 진행해요. 굿노트 홈페이지 제안 게시판을 통해 사람들이 아이디어를 제출하고 투표를 진행하기도 해요. 굿노트의 소셜미디어나 이메일을 확인할 때도 있고요. 단순히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만이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요청하는 ... ...
- 배가 산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때마다 각 갑문에 채워지는 물은 바다로 흘러나가기 때문에, 배가 운하를 통과하는 동안 가툰 호수에서 많은 양의 물이 바다로 흘러갑니다. 배 한 척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려면 2억 L 이상의 물이 쓰여요. 하루 통행량인 31척이 모두 지나가는 데엔 총 70억 L 이상의 물이 소요됩니다. 이는 서울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꿈틀거려요. 그래서 천적이 꼬리에 한눈을 판 사이에 도마뱀이 안전한 곳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뼈로 이뤄진 기존의 꼬리와 달리, 새로 자라는 꼬리는 연골과 비슷한 힘줄로 이뤄져 있어요 ... ...
- 이제는 인공지능도 만화가!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가르쳐요”라고 설명했어요. ‘고마워’, ‘행복해’와 같은 말은 즐거운 감정, ‘미안해’, ‘슬퍼’와 같은 말은 즐겁지 않은 감정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거예요. 그러면 인공지능은 ‘고마워’라는 글이 입력됐을 때 캐릭터를 웃는 표정으로 만들지요. 단, 인공지능은 아직 완벽하지 않기 ... ...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잘 활용하는가가 그 사람의 생산성을 좌우할 거라는데, 당장 뭐부터 해야 할지, 나만 안 쓰고 있는 건 아닌지 혼란스러운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1월호 과학동아는 생성 AI가 왜 강력한가, 근본 질문부터 짚어봤습니다. 그리고 이런 생성 AI가 더 강력해지기 위해 어떻게 발전하고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만났다. 그는 “범죄현장에서 DNA를 발견하고 나면, 이 DNA가 DNA 데이터베이스 안에 들어있는지 대조한다”면서 “그런데 DN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DNA 신원확인정보는 제한적이라, DNA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지점이 아쉬워 연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대검찰청의 DN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DNA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나노기술을 어떻게 의학에 활용할 수 있는지도 볼 수 있었다. 노건우 연구원은 암막 커튼 안에서 바이오 형광 현미경을 사용해 골격근을 관찰하며 형광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해 설명했다. 나노기술로 형광 효율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형광 이미지 처리 기술은 인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 ...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각형이다. 사각형 안에 어떤 두 점을 선택해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사각형 안에만 존재하면 우리가 아는 사각형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볼록 사각형’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목 사각형’이라고 한다. 클라인이 제기한 문제와 그 해법 1932년 클라인은 적어도 점을 5개 찍어야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