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내"(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전!반려동물] 뽀삐야 점프는 조심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한 번 탈구가 시작되면 증상이 반복되며 더 악화될 수 있거든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내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깔아주거나 소파나 침대까지 올라가는 계단을 설치해 주면 좋아요. 또 몸무게가 늘면 무릎 관절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체중 조절에 특히 신경 써야 한답니다. 절뚝거린다면 바로 ... ...
- 자율주행차 가능성을 엿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앞으로 목표가 있다면?내년에 이 대회에 또 좋은 성적을 받고 싶어요. 미국에서 열리는 실내자율주행 경주 대회인 ‘F1TENTH’를 준비하고 있는데, 이 대회에서 수상하는 게 목표지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친구들도 좋아하는 분야가 있다면 꼭 도전해 보세요! _INTERVIEW 권태용(서울 공덕초) 레고 ... ...
- [핫이슈] 아담스 패밀리... 호러블리 가족, 친해지길 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이끈 아하바이베 교수는 “이 오븐으로 가스나 전기를 쓰거나 나무를 태우지 않고 실내에서 요리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했단다. 어때 내 실력이? 하지만 아직 놀라긴 일러. 우리 가족을 지키고 이웃과 친해질 비장의 무기는 따로 있거든. 그게 뭐냐고? 궁금한 친구들은 11월 ... ...
- [출동!기자단] 어과동 열혈독자 광고 촬영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불구하고 프로 연기자처럼 밝은 표정으로 뛰어다녔지요. 야외 촬영을 마치고 난 뒤엔 실내 촬영이 이어졌어요. 탁자 위에서 함께 어과동을 읽으며 이야기를 나누다가 생태 탐사를 하러 뛰어나가는 장면이었지요. 대사를 주고받는 연기가 처음엔 조금 어색했지만, 또래 친구들과 함께 하며 이내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골대로 던져 넣어라! 라보로 농구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 어떻게 농구게임을 만들까?1891년, 미국의 체육 선생님인 제임스 네이스미스는 겨울에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찾고 있었어요. 궁리 끝에, 그는 멀리 떨어진 과일바구니에 공을 던져 넣는 게임을 직접 만들었지요. 이것이 바로 농구랍니다.Toy-Con(토이콘) 창고의 코딩 기능을 이용하면 Nintendo Switch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야생의 새보다 날 수 있는 공간이 훨씬 좁아요. 야생에서처럼 높이, 멀리 날다간 실내 구조물에 부딪힐 수 있어 다치지 않도록 깃털을 손질해 줘야 해요. 각 날개마다 4~5장씩 깃털 끝 부분을 잘라 주세요. 이때 양쪽을 똑같이 자르고, 혈관이 흐르는 깃털은 피해서 잘라야 해요. 깃털은 관 모양의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순환이 일어난다. 이를 활용하면 동남아시아와 남부아시아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 실내 환기에 쓸 수 있는 무전력 공조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101 프로젝트 팀은 동충하초의 일종인 백강균이 닭진드기에 기생하면 닭진드기를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했다. 다공성 물질인 화산송이에 ... ...
- [과학뉴스] 걷기, 달리기 모두 되는 ‘아이언맨 슈트’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형태다. 약 5kg으로 무게도 가볍다. 등에는 구동기가 있어 와이어를 조절한다. 연구팀은 실내 테스트를 통해 이 슈트를 입고 걸으면 평소보다 에너지 대사량이 9.3% 감소하고, 달릴 때는 4.0%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몸에서 약 6kg를 덜어내고 활동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다. 연구 논문은 ...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가장 기본적이고(위), 필요에 따라 선 패턴이나 돌기가 추가된다. 기준② ㅣ 실외용 vs. 실내용겉창 패턴에 주목하라지면과 직접 만나는 겉창은 달릴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조금 어려운 말로 바꾸면, 겉창은 견지력과 내구성, 일정 부분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져야 한다 ...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찬가지였다.크론포스트 교수는 “가을과 비슷한 온도와 일조량 등을 조성해도 실내에서 사육한 제왕나비는 이주하려고 하지 않았다”며 “이주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