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담
협의
의논
조언
담화
d라이브러리
"
상의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전문가들은 현재 기술만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캘리포니아 지역에 규모 6.7 이
상의
지진이 30년 이내에 발생할 확률이 99.7%’. 오늘 날의 지진 예측은 이와 같다. 예보라고 부르기엔 미 흡한 수준이다. 지진 발생 위치가 정확하고 확률이 100%에 가깝다고 해도 지역 주민들에게 30년 동안 살던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노벨상으로 4년에 한 번씩 40세 미만의 수학자들에게만 주는 상이다.아시아에서 이
상의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는 일본이 유일하며 수상자 수는 3명이나 된다. 아시아인으로 중국인 2명, 베트남인 1명이 필즈상을 더 수상했지만 이들의 국적은 호 또는 미국이거나 프랑스 · 베트남의 2중 국적이다.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먼 아래 언덕길에서 이곳을 향하고 있었다. 깜짝 놀랄 풍경이었다. 그나마 여자들은
상의
를 완전히 벗지는 않았지만 춥기는 마찬가지로 보였다.이 무리의 행렬은 모두 20대 안팎의 젊은이로만 이뤄져 있었다. 누군가의 선창에 따라서 합창하는 무리가 지나면 다른 무리가 오고 그 무리가 지나면 다른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있은 후론 많게는 100건까지 매일 매일 평균 20건에 가까운 뉴스가 나오고 있다. SNS
상의
소문을 넘어서 언론의 관심을 받는 자리를 두 달 가까이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인기(상태)가 치솟은 후, 꾸준히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도 상전이 현상과 닮았다.상전이 현상은 밀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번 월드컵에서 태극전사들이 입을 유니폼을 공개했어요. 이번 유니폼은 최초로
상의
와 하의, 그리고 양말까지 모두 플라스틱 병 18개를 재활용해 만들었지요. 기존 유니폼보다 20%나 가볍고, 통풍구가 나 있어 바람이 잘 통해요. 등번호에도 미세한 구멍을 촘촘하게 뚫어 땀을 바깥으로 빠르게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라스만 수 복습 기하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 체계는 실수 체계(R)다. 실수 집합을 직선
상의
점들로 생각하는 것이 수와 공간 사이의 기본 관계이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시작하면 n차원 공간을 실수 n개의 순서쌍 Rⁿ으로 간주하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Rⁿ에 각종 연산 구조가 주어져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들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머릿속에만 있었던 가설
상의
존재였다. 1992년에야 처음으로 지상에서 관측에 성공해 그 존재가 증명됐다. 다시 말하면 인류는 고작 20년 전까지만 해도 명왕성 부근과 그 바로 바깥까지도 오직 추측으로밖에 알지 못했다는 뜻이다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필즈상 받을 거예요!-이승훈 독자기자필즈상은 작년까지만 해도 들어보지 못했던
상의
이름이었다. 수학동아를 통해 그 상을 수여하는 세계수학자대회가 우리나라 서울에서 개최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그 대회에 독자기자 자격으로 갈 수 있게 되어 설레는 마음을 안고 취재를 가게 ... ...
‘깜지’ ‘빽빽이’ 성적에 도움 안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두 번째 실험에서는 오히려 세 번 본 경우 더 많이 틀렸다. 야싸 교수팀은 그 이유를 ‘잔
상의
경쟁이론’에서 찾았다. 장기적인 기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해마가 기억을 불러올 때 매번 세부가 조금씩 다른 이미지를 불러온다는 이론이다. 이 경우 반복해서 기억을 되새기면 오히려 매번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박사는 “교코의 생일인 2월 20일을 세 자리 수로 표시한 220과 내 시계에 새겨진 학장
상의
번호인 284가 ‘우애수’이기 때문에 우리는 신의 손길로 인연을 맺은 특별한 관계”라고 말한다. 우애수가 더없이 좋은 친구가 되는 박사와 교코의 관계를 암시하는 복선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우애수는 자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