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분리
붕괴
파열
분해
열개
분파
d라이브러리
"
분열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2014년 머레이 교수는 상처가 아무는 과정을 튜링 모형을 이용해 밝혔거든요. 새롭게
분열
하는 건강한 세포와 죽어나가는 세포가 각각 확산제와 억제제 역할을 합니다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중 근육줄기세포만 다시 추출해낸다. 이렇게 얻은 근육줄기세포는 배지 위에서 계속
분열
하는 동시에 자기들끼리 뭉쳐서 길이 0.3mm의 관 모양으로 자란다. 이를 ‘근관세포(myotube)’라고 한다. 연구팀은 0.3mm에 불과한 근관세포들을 여러 개 모아 더 큰 근육조직으로 만들기 위해 다시 배양했다.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없이 특정 세포들에 유전자 변형을 일으켜 표시를 한 후 암을 유발하면, 표시한 세포들이
분열
하면서 암 조직의 대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암줄기세포 겨냥한 항암치료법 속속 암줄기세포의 존재는 항암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일단 재발의 원인이 암줄기세포라면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당나귀는 31쌍이다. 따라서 그 자손인 노새의 염색체는 63개로 홀수가 되고, 감수
분열
에 의한 생식 세포 생산이 불가능하다. 노새를 쓰지 않는 요즘에는 동물원에서 이종교배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호랑이와 사자 사이에서 나온 ‘라이거(liger)’나 ‘타이온(tion)’이 대표적이다. 라이거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길이와 두께가 동시에 늘어난 걸까요. 정답은 세포
분열
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건 세포
분열
로 생겨난 새로운 세포가 과연 어디에 있는가 하는 점입니다. 새로운 세포들은 소장의 안쪽에 치우쳐 있었습니다. 이는 세포 입장에서는 위험천만한 선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소장의 바깥쪽과 멀수록, 즉 ... ...
Intro 2. SF 속 우주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소설을 쓴 작가인 클리브 카트밀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카트밀은 우라늄과 핵
분열
에 관한 공개 자료에 자신의 상상을 덧붙여 소설을 쓴 것으로 밝혀졌다.SF 작가는 현실에 바탕을 두고 논리를 이용해 상상을 펼친다. 이미 영국의 소설가이자 역사가인 허버트 조지 웰스도 제1차 세계대전이 ... ...
[과학뉴스] 최초의 생명은 바로 지방?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현상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시뮬레이션 결과 지질 방울이 세포처럼 성장하거나
분열
하면서 정보를 복제했다. 또한 이 중 몇몇 지질 방울은 돌연변이가 일어나면서 환경에 적응했다. 연구팀은 이런 지질 방울에 ‘컴포좀(composom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랜싯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통해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반면, 내폭형은 핵
분열
성 물질을 빠르게 압축시켜
분열
을 일으킨다. 순수 플루토늄은 핵
분열
이 자발적으로 잘 일어나기 때문에 내폭형으로 제작하는 것만 가능하다. 한편 영화에서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다양한 첩보활동을 펼치는 장면이 나온다. 핵무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생명을 다하거나 또는 훼손되면 천천히
분열
하는 성체줄기세포가 잠에서 깨어나 빨리
분열
하는 성체줄기세포로 변한다고 말이죠. doi:10.1126/science.1180794 성체줄기세포가 우리 몸의 기능을 유지하는 워낙 막중한 임무를 하다 보니, 나중을 대비해 저축까지 해놓는 아주 똑똑한 시스템입니다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이룬다. 평상시에는 세포가 핵 속에서 염색사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세포가
분열
하는 동안에는 염색사가 응축된 염색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유전자와 단백질의 관계동양인은 대부분 눈동자가 갈색이다. 반면, 서양인의 눈동자는 대부분 파란색이다. 눈동자의 색깔은 왜 다를까? 오른쪽 위 그림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