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여"(으)로 총 1,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9 바이러스의 돌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음향화’ 기술을 이용해 음계를 부여했습니다. 그리고 음의 길이와 세기로 3차원 구조의 정보를 담았습니다. 이렇게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조를 음악으로 표현하면 항체나 약물이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부위를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찾을 수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수 있어야 한다는 것도 조금 늦게 깨달았지만, 뒤늦게 수학과 코딩을 공부하면서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남 교수는 수학이 복잡하고 길게 적어야 할 내용을 간단히 짧게 나타내는 언어와 같다고 말했습니다. 수학은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선진국에게 제1차 공약기간(2008~2012년) 동안 1990년 대비 평균 5.2%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했으나 미국이 불참하면서 이행에 차질을 빚었다. 제2차 공약기간을 2013년부터 2020년으로 설정하는 도하 개정안은 미국뿐 아니라 일본, 러시아, 캐나다 등도 불참을 선언하면서 동력을 상실했다. 각국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피부로 이동해 축적돼 쉽게 정전기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강유전체에 높은 양극성을 부여한 뒤 피부와 마찰하면 피부에 쌓여있는 양전하를 줄일 수 있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doi: 10.1002/adma.201502463압전 재료 중에서 현재 이 교수가 관심갖는 분야는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등 생체 압전 재료다. ... ...
- 에르되시 팔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있으면 좋을 텐데. 아직 풀리지 않은 수학 난제에 상금을 걸면 예비 수학자들에게 동기 부여가 되지 않을까? 내일 나의 둘도 없는 수학자 친구를 만나 논의해봐야겠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삼국시대나 그 이전부터 사용했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고요. 백제의 유적지인 충청남도 부여 부소산에서 발견된 철제 자물쇠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로 잘 알려져 있어요. 잠금장치는 이후에도 꾸준히 사용돼 구리에 니켈 등을 섞은 백동 등 다양한 소재의 자물쇠 유물이 ... ...
- [쇼킹 사이언스]마블 캐릭터 닮은 곤충이 있다?! 호주 신종 파리 5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수많은 작은 강모를 가지면 댑톨레스테스로 구별할 수 있답니다.생물에 공식적인 학명을 부여하는 것은 종 연구에 대한 시작을 의미해요. CSIRO의 브라이언 레서드 곤충 박사는 “호주에 사는 곤충 중 25%만이 과학적으로 알려져 있고, 종 이름이 붙었다”며 “종에 이름을 짓고, 그들을 구별할수록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신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노랑배청개구리라는 이름이 붙은 이 개구리는 익산, 부여, 논산, 완주 등 금강 유역의 습지와 논에 살아요. 이번 연구 전까지 수원청개구리로만 알려졌지요.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에 걸쳐 한국과 북한, 중국에 서식하는 수원청개구리의 친척 종을 조사했어요.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LHC에서 처음 발견된 기본 입자.표준 모형 이론에 따르면, 힉스는 모든 입자에게 질량을 부여한다. ※필자소개. 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인기를 끌었다.사람들은 이처럼 뉴호라이즌스호가 찍어 보내온 돌덩이 사진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감정을 공유했다. 그 모양이 비록 익숙한 것일지라도, 생애 한 번도 도달하지 못할 만큼 멀고 먼 곳의 신비함이 곁들여졌기 때문이다.2006년 지구에서 발사된 뉴호라이즌스호는 지금까지 비행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