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량
수반
d라이브러리
"
부수
"(으)로 총 21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그래서 신경생리학자들은 뇌파를 대뇌의 복잡한 사고 과정에서
부수
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이라고 간주해왔다. 마치 냉장고가 작동을 하면 ‘윙~’하고 소리를 내는 것처럼 말이다. 냉장고 전문가들은 냉장고 소리만 들어도 이 냉장고가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혹은 어디에 ... ...
프로게이머 24시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두 종류의 프로게이머가 있다. 소속팀이 있어서 후원기업으로부터 정규적인 연봉을 받고
부수
적으로 상금을 챙기는 프로게이머와 소속 단체가 없거나 PC방 소속으로 대회 상금이나 게임 외적인 일인 비정규적인 수입원으로 살아가는 프로게이머다. 다수의 게이머가 PC방형에 속한다. 소속팀이 있는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감마선을 이용해 천문학을 연구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설명한 HEAO도
부수
적으로 감마선 관측을 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감마선 관측은 NASA에서 1990년 감마선천문대(GRO)를 우주궤도에 올려놓으면서부터 시작됐다고 말할 수 있다. 17t에 이르는 감마선천문대는 NASA에서 발사한 인공위성 ... ...
진리탐구의 시금석 연금술의 지혜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알려져 있는데, 이들 대부분이 입자가속기에서 다른 물질을 핵변환 시키면서
부수
적으로 얻어진 것들이다.현대과학으로 연금술이 완성됐지만 과학자들은 금을 생산해 플라멜 같은 부자가 되려는 마음이 전혀 없다. 왜 그럴까. 바로 경제성 때문이다. 입자가속기 하나를 짓는데 수백억원이 들어가고, ... ...
혈액검사만으로 시체의 알코올농도 측정은 곤란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혈액 테스트 한가지만으로는 충분히 정밀하지 않기 때문에 검시에는 소변검사를 비롯한
부수
적인 검사가 병용돼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또 가슴이나 심장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은 다른 신체분야에서 채취한 샘플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고 직후 시체가 받는 충격,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물질이면서 언뜻 보면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것이 많이 있어. 예컨대 유리를 가루가 되도록
부수
면 작은 알맹이 하나하나는 희고 불투명하게 보이지.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물질 가운데 혈액의 붉은 색소와 모발의 검은 색소를 제외하면 모두 무색투명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 ...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한국의 경우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함께 개발할 수 있다면 엄청난 양의 에너지자원을
부수
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탄 하이드레이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천연가스를 수송할 때 하이드레이트에 의해 가스관이 막히는 문제점도 아울러 해결할 수 있다.현시점에서 21세기에 화석에너지를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궤도운행을 묘사하고 태양계 내의 여러 천체들과 천체현상을 나타낸다 그밖에 여러
부수
적인 투영부에 의해 천구의 좌표계와 자오선, 별자리의 그림과 이름, 세차운동, 연주운동 등을 나타낸다리보핵산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구조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전달하는 핵산으로 구성되어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다이안 포시 - 나의 사랑 디지트와 함께 영화 '킹콩'에는 가슴을 쿵쿵치며 닥치는대로
부수
는 고릴라가 나온다. 원래 고릴라는 커다란 덩치(완전히 큰 수컷은 몸무게가 1백80kg, 키가 1백80cm나 된다)에 비해 수줍음을 잘타고 온순한 동물이다. 이런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준 사람은 이미 고인이 된 ... ...
1. 첨단기술 이 안에 다모여라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이를 해소하기 위해 PCMCIA 규격이 제정됐다. 이 과정에서 부피와 무게가 줄어드는
부수
효과가 발생한 것이다.맨 먼저 만들어진 표준은 메모리 카드였다. 주로 노트북과 같은 이동용 시스템의 플로피디스크 대신 쓰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3.3mm의 두께였다. 이것이 바로 ‘TYPE I’이다. TYPE이라는 말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