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구"(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역에 파견돼 14세기에 지어진 문화재의 상태를 조사했다. 여기서 획득한 데이터는 복구에 활용할 수 있다. Big data and Internet of Things(IoT) could also be helpful. The Italian company SysDev developed what they call “the black box of inf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멸종이 바로 시작되진 않을 것이다. 소인국 사람들이 벙커로 들어가는 이유는 지구가 복구될 때까지 벙커에서 숨죽여 지내며 인류 종족을 보존하겠다는 사명감이다. 사프라넥은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사명감을 가진 최후의 인류가 돼 벙커로 들어설지, 아니면 남은 인생을 행복하게 보낼 것인지.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귀환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텔로미어는 원래 상태로 돌아왔다. 5cm 자랐던 키도 다시 원상복구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년 우주 개발 협력의 상징, 국제우주정거장 ISSPart 1. 1998~2018, 해시태그 로 본 20년의 기록[Infographic] ISS, 20년의 발자취Part 2. 포스트 ISS 시대,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말했답니다. 얼렸던 토끼 뇌 복원 성공!동물의 세포를 얼렸다가 녹여서 제 기능을 복구한 연구 결과도 있어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대학원생이 이끄는 ‘21세기 의학 연구소(21CM)’에서는 최근 냉동 보존한 토끼의 뇌를 거의 완벽할 정도로 되살리는 데 성공했거든요. 연구팀은 토끼의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산소 부족으로 뇌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심폐소생 장치로 호흡과 혈액 순환 기능을 복구시켜요. 이어서 피 일부를 뽑아내고 정맥주사를 놓아 세포의 부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답니다. ●환자 :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은 고객을 ‘환자’, 사망한 사람을 ‘잠재적으로 살아 있는 자’라고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기둥을 사용해서 지진으로 무너진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오른쪽 사진)을 복구하기도 했답니다. 그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집어 새끼손가락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무리하게 채집하면 군체자체가 손상돼 복구가 불가능해진다”며 “흙 표면에서 일개미 몇 마리만 채집하고 끝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동 씨는 그마저도 연구 목적일 때만 채집한다고 했다. 실제로 그는 이날 여섯 종 이상의 개미를 찾아냈지만, 그 중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크리스퍼-캐스9이 표적 DNA를 자르고 나면, 세포내에 있는 시스템에 의해 DNA가 다시 복구된다. 생물학에서 ‘DNA 수선’이라고 부르는 작업이다. 이때 변이된 DNA를 잘라내고 정상 DNA를 도입하기 위해서, 주형이 될 수 있는 외부 DNA를 함께 넣어준다. 이 외부 DNA(Donor DNA)는 표적 DNA와 유사한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05 퍼센트나 110 퍼센트가 될 수는 있지만요. 그동안 노화하고 손상된 생물학적 뇌를 복구하려면 인공뇌가 조금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요. 존경하는 김은경 선생님, 이제 충분히 설명이 됐을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선생님을 진짜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은 제 인생에서 가장 고단했던 시간을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건립된 지 약 300여 년 만에 리히터 규모 8~9로 추정되는 지진으로 무너졌다가 다시 복구됐다. 그리고 다시 1000년이 지나 해체와 복원을 거친 뒤 규모 5.8의 지진을 견뎌냈다. 무게추가 달린 거대한 ‘오뚝이’, 첨성대첨성대도 지난해 경주 지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 때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