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d라이브러리
"
벌레
"(으)로 총 850건 검색되었습니다.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했어요. 왕의 오해를 산 조광조는 결국 사약을 받죠. 그런데 정말 나뭇잎에 꿀을 바르면
벌레
들이 꿀이 묻은 자리만 갉아먹을까요? 이에 궁금증을 품은 크리에이터 ‘공돌이 용달’이 직접 검증에 나섰습니다! ▶설탕으로 만든 아름다운 그림 조회수 : 74만 회 사진 속 그림은 설탕으로 그린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먹이인 애
벌레
모양으로 바꾼다. 꿈틀꿈틀 움직이기까지 하는 모습을 보면 영락없는 애
벌레
다. 이 정도면 지능이 ‘심플’한 새가 속아 넘어갈 수밖에 없다. 재학 증명서를 위조해 과외선생이 된 기우나, 일리노이주립대를 팔며 미술선생이 된 기정이 연상되는 순간이다. 리베이로이아 온다트래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거대한 동물의 뱃속이었던 것이다. 원래 이 괴물은 정식 명칭도 없이 단순히 ‘우주
벌레
’라고 불렸다. 영화에는 비록 한 번밖에 등장하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에게 큰 인상을 남긴 괴물이다. 이후 영화 외 시리즈에서 종종 언급되면서 살이 붙었다. 지금 이 괴물의 정식 이름은 ‘엑소고스(Exogorth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로봇들이
벌레
부터 사람과 비슷한 형태까지 각양각색의 모습을 하고 있네요. ‘로봇’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든 사람도 로봇이 이렇게 다양해질 줄은 상상도 못했을 겁니다. ‘로봇’은 원래 이런 뜻으로 지은 단어가 아니었거든요! ‘로봇’의 뜻을 로봇학자에게 묻지 마라?1920년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
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여기, 화면 아래에 한 마리 보이네요!”손가락으로 가리킨 곳에는 구더기보다 훨씬 작은
벌레
가 몸을 흔들며 헤엄치고 있었어요. 길쭉하고 미끈한 몸체가 투명하게 빛나고 있었죠. 여기저기서 대원들의 탄성이 이어졌어요. 현미경을 비추니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선충들이 많이 보였기 때문이죠 ... ...
해먹 달기 대작전! 사육곰에게 놀이를 선물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손을 뻗어 사과를 집더니 맛있게도 쪼개먹었어요.“정말 잘 먹죠? 원래 곰들은 과일이나
벌레
, 어린 나뭇잎을 먹고 살아요. 하지만 사육곰들은 주로 개 사료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먹어요. 게다가 야생에서 곰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를 찾으며 보내요. 사육곰은 하루에 한 번, 짧은 시간 안에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새
벌레
잡는 카멜레온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0월 25일, 미국 퍼듀대학교 람세스 마티네스 교수팀이 카멜레온의 혀처럼 순식간에
벌레
를 잡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로봇은 고무처럼 탄성력을 갖고 있는 폴리머 소재로 만들어진 소프트 로봇이에요. 원래 길이의 5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 되는 것까지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사람한테는 향기로운 냄새니까 괜찮아요. 방귀쟁이 식물은 허브예요. 자신에게 해로운
벌레
를 쫓기 위해 방어물질을 뿜어내는 거랍니다.”이어 대원들은 낮에는 잠만 자던 사막여우의 생기있는 모습도 보고, 최대 250살까지 산다는 장수 동물 알다브라육지거북 등을 관찰한 뒤 숙소로 돌아왔어요 ... ...
벌레
로
벌레
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만약 집 주변에 고인 물이 있다면 쏟아버리세요! 장구
벌레
의 서식지인 고인 양동이를 한 번만 비워도 앞으로 생길 모기를 거의 1000마리까지 줄일 수 있답니다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참여한 배윤혁 연구원은 “국내 중 제주에서만 유일하게 발견되는 두점박이사슴
벌레
는 불빛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인데, 도로를 만들고 가로등을 설치하면 많은 개체가 불빛에 날아들어 차에 깔려 죽게 될 것”이라며 삼나무 벌채에 대한 우려를 전했어요. 시민모임의 김순애 녹색당원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